기본 개념
선천 갑상샘저하증
출생시 이학적 소견
앞숫구멍과 뒤숫구멍이 크게 만져짐,
낮은 체온, 얼룩덜룩하고 건조하며 두껍고 찬 피부,
열린 입, 멍청한 표정, 넓고 낮은 코, 양안 격리,
부서지기 쉽고 거친 머리카락, 복부 팽만과 배꼽 탈장, 쉰 울음소리,
눈꺼풀, 손등, 생식기 및 사지의 부종,
근긴장 저하(hypotonia), 이완된 반사, 치아 발육의 지연
영아기: 황달 장기간 지속, 변비, 수유곤란, 많이 자고 잘 안 우는 기면 상태, 두꺼운 혀로 인한 호흡곤란
영아기 이후: 성장 발달 지연, 작은 키, 짧은 사지와 목, 두꺼운손과 짧은 손가락. 상절/하절 비가 정상보다 큼(영아형에 머뭄)
생후 6주 이내 치료 시작시 예후가 좋은 편이다.
3개월 넘으면 정상 지능 발달 기대 어려움
검사: T4 감소, TSH 증가
치료: 레보티록신
콩우유, 철분제제, 칼슘 제제와의 동시 투여는 티록신 약제의 흡수를 억제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공복에 투여하며, 투여 후 30-60분간 음식물을 주지 않는 것이 추천되나 영아에서 정확히 지키기는 어렵다.
TSH 농도는 0.5-2 사이로 유지되게 한다.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