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열성 경련
3개월에서 5세 사이, 갑자기 39도이상 상승시 잘 발생
증상: 발열과 함께 양쪽성 전신 간대성 경련
원인: 70%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에 의한 열성 질환
분류
단순열성경련: 15분 내 그침
복합열성경련: 15분 이상, 하루 2회 이상, 후유증
단순열성경련의 뇌전증 이행될 위험요인
복합열성경련인 경우(부분발작)
뇌전증 가족력
발달지연이나 신경학적 질병 존재시
첫 진찰시 열 원인 파악, 뇌수막염 배제 (목강직 등 뇌수막 자극징후 존재시에만 요추천자 시행)
치료:
급성 경련시엔 경과관찰, 대증치료 (해열제)
항뇌전증약 더 이상 추천 X
열성 경련 심하고 자주 재발시 경구 diazepam 효과적
(재발위험도 낮춤, 비교적 효과적 안전)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