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임상양상
정신병적 증상: 환각, 망상
와해증상 영역: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과 괴이한 행동, 정동 불일치
음성증상 영역: 정동둔마, 무언증, 무의욕증, 무쾌감증, 주의력 손상
기타 증상: 병식 결여, 연성 신경학적 징후
진단기준
A. 다음 증상 중 둘이상이 1개월의 기간 동안의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내지 (2) 혹은 (3) 이어야 한다.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Ex) 빈번한 탈선 혹은 지리멸렬)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5. 음성 증상 (Ex) 감퇴된 감정 표현 혹은 무의욕증)
B. 장애기간 중 주요 영역의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C. 장애의 지속적 징후가 최소 6개월 동안 계속된다. 이러한 6개월의 기간은 진단기준 A에 해당하는 증상이 있는 최소 1개월을 포함해야 하고, 전구 증상이나 잔류 증상의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약물치료: 항정신병 약물(해당 강의록)
치료 저항성 환자: 클로자핀
비약물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중재, 사례관리 등
비약물적 치료 심화
생물학적 치료법
전기경련요법(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심한 우울 증상, 높은 자살 위험성, 긴장형 증상, 심한 초조를 동반한 조현병 환자
항정신병 복용이 어려운 경우
경두개 자기자극법(rTMS)
환청과 음성증상에 효과적
기타 정신사회적 치료
지원 고용, 지역사회 치료, 집단치료, 미술치료, 사회기술훈련, 인지재활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