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치료방침
기본적으로 고혈압전단계 이상이면 생활요법(소금 섭취 제한, 체중 감량, 절주, 운동, 금연, 건강한 식사 요법)
위험인자 0: 2기 고혈압부터(160/100 이상) 약물치료
위험인자 ≥ 1/무증상 장기 손상: 1기 고혈압부터(140/90 이상) 약물치료
** 무증상 장기손상: 뇌실주위 백질 고신호강도, 미세출혈, 무증상 뇌졸중, 좌심실비대, 알부민뇨, eGFR 감소, 3-4단계 고혈압성 망막증, 죽상경화반
심뇌혈관질환/만성콩팥병: 고혈압 전단계부터(130/80이상) 바로 약물치료
** 심뇌혈관질환/만성콩팥병: 뇌졸중, TIA, 혈관성치매, 협심증, 심부전, 심방세동, CKD stage 3+, 대동맥확장, 대동맥박리, 말초혈관질환
[1] 2022 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pg.37, 45, 46
고혈압 약제의 선택
상기 표처럼 고혈압 약제의 선택은 환자의 동반질환, 약제의 부작용, 금기,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선택한다.
(1) 1차 약제: ACEi/ARB, CCB, Thiazide 계열 diuretics (chlorthalidone / indapamide / hydrochlorothiazide)
** Beta blocker는 혈당과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쳐 초기 약제로는 잘 사용하지 않으나, 협심증/심근경색/빈맥성 부정맥을 동반한 경우나, 심박수가 높은 비교적 젊은 환자에서 추천됨
(2) 2차 약제 : 1차 약제로도 혈압 조절이 되지 않으면 용량을 증가 OR 병용 (병용하는 것이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이는 이점)
권장되는 병용요법은 ACEi/ARB + CCB or Thiazide 계열 diuretics (B-blocker + Diuretics는 당뇨 및 대사질환의 위험 증가)
** 24년도 국시에 ARB와 CCB의 최대용량을 사용하는데 조절이 안되는 환자에서 Thiazide 계열 이뇨제를 추가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3) 2차 약제로도 조절 X : ACEi/ARB + CCB + Thiazide 계열 diuretics 3제 요법 사용
→ 3가지 약제를 적정 용량으로 사용했음에도 조절이 되지 않으면 저항성 고혈압에 해당한다. 이 때는 원인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며(순응도 저하, 감기약, NSAID, 스테로이드, 피임약, 소금섭취, 과음, 이차성 고혈압 등), 치료로는 이뇨제를 추가 or 증량하거나 spironolactone 등을 추가해볼 수 있다.
[1] 2022 고혈압학회 고혈압 진료지침, pg.62
[2] 2023 대한의학회 일차 의료용 Quick Reference Guide, pg.1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