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장애)

기본 개념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장애)

진단기준

A. 적어도 2년 동안(소아는 1년), 하루의 대부분 우울한 기분이 있고, 우울한 기분이 없는 날보다 있는 날이 더 많으며, 이는 주관적으로 보고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됨

B. 우울 기간 동안 다음 중 2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1. 식욕부진 또는 과식

2. 불면 또는 과다수면

3. 기력저하 또는 피로감

4. 자존감 저하

5. 집중력 감소 또는 우유부단

6. 절망감

C. 장애가 있는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2개월 이상, 진단기준 A 증상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가 없음

D. 주요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을 만족하는 증상이 2년간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

**만약 지속성 우울장애의 기간 어느 시점에서든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한다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하여야한다.

**지속성 우울장애를 만족하며 주요우울삽화가 동반될 때 이중우울증이라고 한다.


치료

항우울제±항불안제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