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
임상양상
공황발작
갑작스러운 심한 공포나 불편감과 동반되는 신체적 증상
병원 도착할때쯤이나 도착한 후 증상의 소실을 경험함
예기발작
공황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두려움
진단기준
A. 반복적으로 예상치 못한 공황발작. 공황발작은 극심한 공포와 고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수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름, 그 시간 동안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1. 심계항진(두근거림, 심박수 증가), 발한, 몸의 떨림, 숨이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2. 질식할 것 같은 느낌, 흉통/가슴 불편감, 메스꺼움/복부 불편감
3. 어지러움/멍한느낌/현기증, 춥거나 화끈거림, 감각이상, 비현실감/이인증
4. 통제할 수 없는 두려움, 죽을 것 같은 공포
B. 적어도 1회 이상의 발작 이후에 1개월 이상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조건을 만족함
1. 추가적인 공황발작과 발작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2. 발작과 관련된 행동으로 현저하게 부적응적인 변화가 일어남
치료
약물치료: 급성기: Benzodiazepine, 유지치료: SSRI
단, Benzodiazepine의 장기간 사용은 주의
비약물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정신교육 등
치료 심화
약물치료
2차 치료: 항우울제(Venlafaxine, Milnacipran, Mirtazapine), 비전형 항정신병약물
치료저항성 환자: MAOi
비약물적 치료
공황에 대한 정신교육: 공황증상에 대한 오해 교정
인지재구조화: 사고의 왜곡을 발견하고 교정
노출치료: 환자를 불안을 느끼는 상황에 직접 노출시켜 인지오류 교정, 불안반응 줄임
응용이완요법, 호흡훈련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