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불안장애

범불안장애

기본 개념

범불안장애

임상양상

  • 과도한 걱정과 불안

  • 초조함, 신경이 곤두선 느낌, 근육 긴장, 떨림, 근육통, 피로감, 불면감


진단기준

A. 직장/학업과 같은 수많은 일상활동에 대한 과도한 불안이나 걱정최소한 6개월 이상의 기간 중 안 그런 날보다 더 많은 날 동안 지속된다.

B. 개인이 이런 걱정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6가지 증상 중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증상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지난 6개월 동안 몇 가지 증상이 있는 날이 없는 날보다 더 많다.

1. 안절부절 못하거나, 긴장, 초조하고 신경이 곤두선 느낌

2. 쉽게 피로해짐

3. 집중하기가 어렵고 멍한 느낌

4. 짜증이 잘 남

5. 근육의 긴장

6. 수면장애


치료

  • 약물치료: SSRI, SNRI, Buspirone, Benzodiazepine, Pregabalin

  • 비약물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지지정신치료, 통찰지향 정신치료 등

추가 개념

정신사회적 치료 부연설명

  • 인지행동치료

    • 인지왜곡 교정을 목적으로 시행함

  • 행동치료

    • 근육이완법, 바이오피드백

  • 지지정신치료

    • 위로와 재확인을 통해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고 현실에 적응할 수 있게 해줌

  • 통찰지향 정신치료

    • 불안을 제거하기 위함이기 보단 무의식을 통찰함에 따라 불안을 견뎌낼 수 있게 해줌

치료 저항성 환자에서 사용하는 약제

Mirtazapine, Agomelatine, Imipramine, Quetiapine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