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증상장애
임상양상
환자 자신이 심각한 신체질환에 걸렸을것이라 생각할만한 신체적 불편감과 통증 호소
진료 및 검사에도 ‘찾지 못했을 뿐 병이 있다’는 믿음 → 여러 병원에서 병이 없다는 얘기를 들음
→ 믿음은 견고해짐 & 좌절 및 불안 → 다른 병원 방문
진단기준
A. 고통스럽거나 일상에 중대한 지장을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신체 증상이 있음
B. 신체 증상 혹은 건강염려와 관련된 과도한 생각, 느낌 또는 행동이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되어 나타남
1. 증상의 심각성에 대해 편중되고 지속적인 생각
2. 건강이나 증상에 대한 지속적으로 높은 단계의 불안
3. 이러한 증상들 또는 건강염려에 대해서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 소비
C. 어떠한 하나의 신체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증상이 있는 상태가 지속됨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치료원칙
대부분의 환자는 정신과 치료를 거부하기에 신체증상, 만성질환을 다루면서 치료를 제안해야함
정기적으로 계획된 반복적 신체검진 시행
환자 안심, 의사-환자 관계 견고화, 호소하는 신체증상 인정
뚜렷하고 객관적인 증상이 보일때 본격적으로 침습적 검사 시행
의사는 지지적, 공감적 태도를 보여야함, 일관적으로 안심시킴
의사-환자 간의 치료동맹 형성이 중요
신체증상의 의미와 맥락에 대한 교육 시행
주의전환
내부 자극(신체증상)에 몰입된 환자를 외부 자극으로 관심을 돌리기
치료 부연설명
**우수한 치료법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
인지행동치료, 정신치료, 집단치료 시행 가능
우울과 불안증상에 약물치료를 시행가능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