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전환장애

기본 개념

전환장애(= 기능성 신경증상 장애)

임상양상

  • 수의운동 장애 감각 장애

    • 흔한 증상: 마비, 감각이상, 시각상실, 난청, 실성증

  • 경련 발작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 뇌전증과 달리 혀 깨물기나 요실금, 신체의 손상이나 외상이 거의 없음


진단기준

A.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화된 수의적 운동이나 감각 기능의 증상이 있음

B. 임상 소견이 증상과 인정된 신경학적 혹은 의학적 상태의 불일치에 대한 증거를 제공함

C. 증상이나 결함이 다른 의학적 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D. 증상이나 결함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하거나, 의학적 평가를 필요로함


치료

  • 치료 원칙

    • 철저한 신체검사를 한 뒤, 재검사를 하지 않도록 환자와 약속하기

    • 조기 치료가 중요함

    • 환자-의사 관계 공고히

  • 정신치료

    • 설득 및 암시

    • 모든것이 ‘마음의 문제’라고 하며 정신적인 문제직면 X

  • 행동치료

    • 긍정강화

      • 활동 정도에 맞추어 보상 → 행동 격려

    • 환자의 체면을 세워주며 이차이득 최소화

  • 기타치료: 약물(lorazepam)이용 면담, 최면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