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급식 및 섭식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증

기본 개념

신경성 식욕부진증

임상양상

  • 행동양상

    • 식사행태 변화와 체중감소

    • 굶기, 극단적 과식, 보상행동 등

  • 심리적 양상

    • 음식에 대한 극도의 불안

  • 신체 증상

    • 발달 및 성장의 정체, 저체중

    • 무월경, 저체온, 부종, 서맥, 저혈압, 탈모, 부정맥, 골밀도 저하, 갑상샘 기능저하, 호르몬 변화


진단기준

A. 연령, 성별, 발달적 궤도에 비추어, 신체적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정상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저체중을 유지함

B. 전형적으로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보임

C. 체중과 체형에 대한 경험과 의미가 손상되어 있음

**두가지 유형

(1) 제한형: 지난 3개월 동안 폭식 혹은 제거행동이 정기적이지 않았던 경우
(2) 폭식/제거형: 지난 3개월 동안 폭식 혹은 제거행동이 반복적으로 있었던 경우


치료

  • 약물치료

    • 항우울제

      • 체중 회복 X, 우울과 강박증상에 효과

    • 올란자핀, 아연

      • 체중 회복 O

추가 개념

치료 보충

  • 영양공급

    • 서서히, 경구로, 복합 비타민제, 미네랄제를 포함한 음식 공급

  • 입원치료의 적응증(외래 치료가 1차적)

    • 외래치료에 반응X, 신체적 고위험군, 정신사회적 자원이 빈곤

식욕증진 효과가 있는 약제 사용

  • 식욕증진에 효과가 있는 약제(ex. Mirtazapine)를 1차 약제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식욕이 없는 질환이 아닌 음식과 체중에 대한 불안이 중심인 질환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식욕증진의 치료가 아닌 체중회복, 우울, 강박증상에 대한 치료를 시행함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