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식증후군
임상양상
반복적인 야식 삽화
야식 삽화에 대한 회상
증상으로 인해 스트레스
진단기준
A. 수면 중에 깨어난 후 먹거나 저녁을 먹고 나서도 밤에 과도한 양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복적인 야식 삽화
B.먹은것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회상할 수 있음
C.야간 식이는 외부 요인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야간 식이는 상당한 고통 그리고/혹은 기능상의 손상을 초래한다.
치료
약물치료: SSRI, Topiramate
비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기타: 식사패턴조정, 이완훈련, 수면위생교육, 인지재구조화, 지지기반확립
제거장애
개념 및 임상양상
왜곡된 체중이나 신체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체중을 가진 사람이 소량의 음식을 먹고 나서 반복적으로 섭취한 음식을 제거하는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진단기준
A.폭식행동 없이 체중이나 체형에 영향을 주는 반복적인 제거행동만 있는 경우
B.제거행동은 체중이나 신체상을 조절할 목적으로만 행해져야한다.
C.3개월 동안 적어도 주 1회 제거 삽화를 보여야한다.
이식증
증상
흙, 머리카락, 돌 등 비영양성 식품을 지속적으로 먹음
진단기준
A. 적어도 1개월 동안 비영양성, 비식품 물질을 지속적으로 먹는다.
B. 비영양성, 비식품성 물질을 먹는 것이 개인의 발달수준에 부적절하다.
C. 먹는 행동이 문화적으로 지원을 받거나 사회적으로 규범적인 관습이 아니다.
D. 먹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 또는 의학적 상태의 맥락에서 나타난다면, 이식증 행동이 추가적인 임상적 관심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하다.
치료
영양보충
행동치료: 혐오치료, 부정강화, 긍정강화
회피/제한형 음식 섭취장애(ARFID)
진단 기준
A. 음식을 섭취하지 않아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지속적 영양 결핍이 발생한다.
1. 유의미한 체중감소 (소아의 경우 예상체중에 도달하지 못함)
2. 유의미한 영양 결핍
3. 경구 영양보조제나 장관영양에 대한 의존성
4. 정신사회적 기능의 심각한 저하
B. 음식에 대한 회피/제한은 음식에 대한 접근성이나 문화적으로 용인되는 행동과 관련이 없다
C. 음식에 대한 회피/제한은 신경성 식욕부진증/폭식증 삽화 도중에만 발생하지 않는다.
D. 기타 정신장애나 의학적 상태에 의해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증상 : 체중감소, 영양결핍, 성장장애 등
특징 : 유아기나 소아기에 주로 나타남, 소아 청소년기 정서곤란, 사회적 기능감퇴 등과 연관
치료 : 효과적인 치료가 없음, 대증 치료
**신경성 식욕부진증 vs 회피/제한형 섭취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회피/제한형 섭취장애의 가장 큰 감별점은 음식과 체중에 대한 불안감 유무이다.
두 질환 모두 음식을 제한하는데서 비슷한 점이 있지만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음식과 체중에 대한 불안, 두려움이 존재하는 반면 회피/제한형 섭취장애는 불안, 두려움없이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는다.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