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기본 개념

적대적 반항장애

임상양상

  • 화를 자주내고, 과민하며 논쟁적이고 반항적인 행동, 보복에 집착하는 태도

  • 자신의 이런 특징을 주변사람이나 환경의 탓으로 돌림

  • 거짓말을 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음


진단기준

A. 아래 범주에 있는 증세 가운데 최소 4가지 이상의 증상6개월 이상 지속됨. 이러한 증상은 형제나 자매가 아닌 적어도 1명 이상의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야 한다.

1. 분노/과민한 기분

자주 성질을 냄

자주 과민하고 쉽게 짜증을 냄

자주 화를 내고 크게 분개함

2. 논쟁적/반항적 행동

자주 권위있는 인물과 혹은,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는 성인과 논쟁함

권위자의 요구나 규칙을 적극적으로 반항을 하거나 거절함

자주 고의적으로 다른사람을 짜증나게 듬

자주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남의 탓으로 돌림

3. 보복적 특성

지난 6개월 안에 적어도 두 차례 이상 악의에 차 있거나 앙심을 품음

B. 행동 장애가 개인 자신에게, 또는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사회적 맥락내에 있는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며, 그 결과 사회적, 학업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줌

추가 개념

치료

  • 비약물적 치료

    • 부모 훈련 프로그램+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기술 훈련

  • 약물치료

    • 정신자극제, 클로니딘, 부스피론, 아토목세틴

      • ADHD가 동반된 적대적 반항장애

    • 신경이완제, 기분안정제

      • 심한 공격성

  • 치료 원칙

    •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신뢰를 얻고 치료적 동맹을 맺음

    • 치료자는 처음부터 중립적인 입장을 취해야함

    • 잘잘못을 따지기 보다는 환자의 입장에서 환자가 느끼는 화나 부정적 공감에 접근

    •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일차 및 이차적 예방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