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신경인지장애

섬망

기본 개념

임상양상

  • 다른 의학적 상태, 약물, 물질 중독 or 금단 등으로 인해 발생 (주로 수술 후의 상황이 주어지지만, 감염이나 대사질환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 가능)

  • 집중력, 인지능력의 저하

    • 환각, 착각, 착오, 이인증, 비현실감 등

  •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

  • 정동 변화

    • 우울, 다행감, 고양감, 분노, 자극과민

  • 신체적 증상

    • 떨림, 자세고정불능증, 안진, 요실금과 변실금, 자율신경 항진 혹은 불안정

진단기준

A. 주의력 장애(주의를 돌리고, 집중, 유지, 이동하는 능력 감퇴) 와 인식 장해(환경 파악 능력 감퇴)

B. 장해가 단기간 동안 발전되고, 기준 시점의 주의력과 의식으로부터 변화가 있으며, 하루 중에도 증상의 심한 정도가 변화하는 경향이 있음

C. 추가적인 인지장애(예: 기억력 장해, 지남력 장해, 언어 장해, 시공간 장해, 또는 지각 장해)

** 아형

  • 과활동성: 증가된 교감신경 활성

  • 저활동성: 활동량 감소, 환경파악 명료도 저하

  • 혼재성: 과활동성과 저활동성 사이 증상 변동, 밤에 과활동

** 아증후군 섬망

  • 하나 이상의 섬망 증상을 지니나 섬망의 진단기준은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치료

섬망환자 간호중재

환자를 조용하며 낮에는 불빛이 있는 방, 야간에는 야간 조명을 킴

과도한 감각자극은 피하되 조용한 음악정도의 자극 제공

달력이나 시계가 보이도록 지남력 단서를 제공

안경이나 보청기를 주어 감각장애 교정

환자에게 안심을 시키기고 가족들이 함께 있도록 권유하며 가족사진 같은 친숙한 물건을 둠

수면 각성주기가 유지되도록 낮에 활동 격려, 저녁에 수면에 도움이 되는 지지 제공

  • 약물치료

    • 정신병적 증상: Haloperidol

      • Ziprazsidone, Chlorpromazine사용하지 않음

    • 불면: Lorazepam

  • 사용중인 약제 변경

    • TCA→SSRI, Beta blocker→ACEi

추가 개념

치료 심화

  • 정신병적 증상

    • 이차약물: 리스페리돈, 클로자핀, 올란자핀, 퀘티아핀

  • 덱스메데토미딘(Dexmedetomidine)

    •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를 받는 섬망 환자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