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성격장애

Cluster A

기본 개념

편집성 성격장애

특징

  • 다른사람의 동기를 악의로 해석

  • 타인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과 의심

  • 사람들에게 원한을 품고 지적을 공격으로 지각함

  • 애인이나 배우자 정절에 대한 의심


치료

  • 치료자의 역할

    • 친밀한 관계 유지와 신뢰, 인내가 중요

    • 지나치게 따뜻하지 않은 적정 온도

  • 정신치료, 항불안제

조현성 성격장애

특징

  • 대인관계에서 제한된 감정표현

  •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 않고 혼자 있음

  •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함

  • 단조로운 정동을 보임


치료

  • 정신치료

  • 약물치료

    • SSRI(거절 민감성)

    • BZD(대인 관계 불안 감소)

조현형 성격장애

특징

  • 인지 및 지각의 왜곡(망상 사고, 마술적 사고), 행동의 괴이성(이상한 행동)이 있음

  • 사회적, 대인관계의 결함

  • 부적절하고 제한된 정동


치료

  • 정신치료

  • 치료자의 역할

    • 환자들의 특이한 생각이나 활동에 대해 폄하허가나 판단하지 않아야함

추가 개념

편집성 성격장애 진단기준

A. 다른 사람의 동기를 악의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등 타인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과 의심이 있으며, 이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충분한 근거 없이, 다른 사람이 자신을 관찰하고 를 끼치고 기만한다고 의심함.

2. 친구들이나 동료들의 충정이나 신뢰에 대한 근거 없는 의심에 사로잡혀 있음.

3. 어떠한 정보가 자신에게 나쁘게 이용될 것이라는 잘못된 두려움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비밀을 털어놓기를 꺼림.

4. 보통 악의 없는 말이나 사건에 대해 자신의 품위를 손상하는 또는 위협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함

5. 지속적으로 원한을 품는다. 즉, 모욕이나 상처줌 혹은 경멸을 용서하지 못함.

6. 다른 사람에겐 분명하지 않은 자신의 성격이나 평판에 대해 공격으로 지각하고 곧 화를 내고 반격함

7. 정당한 이유 없이 애인이나 배우자의 정절에 대해 반복적으로 의심함.

B.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조현성 성격장애 진단기준

A.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유대로부터 반복적으로 유리되고, 대인관계에서 제한된 범위의 감정 표현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양상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 이상에 해당될 때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한다.

1. 가족과의 관계를 포함해서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 않고 즐기지도 않음

2. 항상 혼자서 하는 행위를 선택함

3. 다른 사람과의 성적 경험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음

4. 거의 모든 분야에서 즐거움을 취하려 하지 않음

5. 일차 친족 이외의 친한 친구가 없음

6. 다른 사람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함

7. 감정적 냉담, 유리 혹은 단조로운 정동의 표현을 보임

B. 단,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 혹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하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조현형 성격장애 진단기준

A. 친분 관계를 급작스럽게 불편해하고 그럴 능력의 감퇴 및 인지 및 지각의 왜곡, 행동의 괴이성으로 구별되는 사회적 및 대인관계의 결함의 광범위한 형태로, 이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관계사고(심한 망상적인 관계망상은 제외)

2. 행동에 영향을 주며, 소문화권의 기준에 맞지 않는 이상한 믿음이나 마술적인 사고를 갖고 있음

3. 신체적 착각을 포함한 이상한 지각 경험

4. 이상한 생각이나 말을 함

5. 의심하거나 편집성 사고

6. 부적절하고 제한된 정동

7. 기이하거나 편향되거나 괴이한 행동이나 외모

8. 일차 친족 이외에 친한 친구나 측근이 없음

9. 친하다고 해서 불안이 감소하지 않으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보다도 편집증적인 공포와 관계되어 있는 과도한 사회적 불안

B.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 혹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