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스트라우스 증후군 (EGPA, CSS)
임상양상
40-50대, 평균 9년이상의 천식 병력
Systemic eosinophilia
CXR: bilateral, migratory patchy infiltrate / CT: bilateral GGO 및 consolidation, predominantly subpleural
2/3에서 p-ANCA (+)
여러 장기 침범에 의한 증상
호흡기: 부비동염, 알레르기 비염, 비강 폴립, 객혈 (DAH)
신경계: peripheral neuropathy (peroneal n. m/c)
피부: palpable purpura, skin nodule, rash
위장관: 호산구성 위장관염, 복통, 설사, 위장관 출혈, 대장염
심장: 심부전(심근침범), 심낭막염, 심근경색
신장: 드물고 경미함
치료: 전신 steroid (1st), 재발성/중증인 경우 steroid + cyclophophamide, mepolizumab
[1] Harrison 21e, pg.2164~2165
척-스트라우스 증후군 vs 베게너 육아종증
신장계통의 관점에서 척-스트라우스 증후군, 베게너 육아종증 모두 ANCA associated GN(RPGN의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하는 질병이다.
척-스트라우스 증후군은 P-ANCA, 베게너 육아종증은 C-ANCA가 주로 상승한다.
비중격천공은 베게너에서, 말초신경병증은 척-스트라우스 증후군에서 많이 나타난다.
** 참고) ANCA
ANCA(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란 neutrophil의 세포질성분에 대한 항체이다. 면역형광 현미경 염색 패턴에 따라 세포질 전체가 형광을 띠는 C-ANCA(=Cytoplasmic ANCA)와 핵 주변에만 형광이 나타나는 P-ANCA(=Perinuclear ANCA)로 구분된다.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