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상 치유의 단계 (Wound healing phases)
창상이 치유되는 과정은 염증기 → 증식기 → 성숙기 총 3단계로 나뉜다. 각 단계는 서로 겹쳐서 발생하며, 크기가 큰 상처의 경우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염증기 (Inflammatory phase)
: 조직 손상에 대해 면역세포, 혈관, 염증 매개체들이 관여하는 국소적 보호반응
지혈 (Hemostasis) : 손상된 혈관내피에 혈소판이 부착, 응집하면서 지혈과정이 이뤄짐
혈관 투과성 증가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 화학주성 (chemotaxis):
혈소판, 비만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vasoactive hormone (serotonin, histamine)으로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다양한 chemokine에 의해 혈장과 염증세포가 혈관 밖으로 빠져나와 창상내로 이동Neutrophil: 창상 치유에 가장 처음 관여하는 염증세포. 세균, 첫 24-48시간동안 죽은 조직의 대식작용을 담당
Macrophage: 창상 치유 2-4일차에 나타나며, 주된 debridement, matrix turnover에 관여하고 cytokine 분비 및 다양한 stimulation을 통해 창상 치유 과정을 지휘하는 가장 중요한 세포
Lymphocyte: 창상 5-7일차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세포. 명확한 역할이 밝혀지진 않았으나 국소면역반응 및 창상치유과정을 조절하는 역할로 추정.
증식기 (Proliferative phase)
: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 생성되며 손상된 Extracellular matrix를 복구하고, 상피세포 재생이 이뤄지는 단계.
angiogenesis: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어 조직에 산소와 기질을 공급
fibroplasia: fibroblast에 의해 ECM의 구성 요소인 collagen과 proteoglycan을 합성하여 ECM을 복구하는 과정. 창상 발생 3-5일 후부터 시작하여 4주 이후부터는 콜라겐 합성 속도가 감소. ECM의 합성에는 산소, 기질공급, 성장인자가 중요.
epithelization: 창상 변연(wound margin)과 모낭(hair follicle)에 있는 keratinocyte가 이동, 분화하면서 상피화가 진행. 습한 환경에서 가장 잘 일어나며, 창상 발생 24-48시간 후 완료됨
(따라서 습윤 드레싱이 창상 치유에 효과적이고, 수술 후 24-48시간이 지나서 드레싱을 열어보는 것이 창상 감염 예방에 유리)
성숙기 (Maturational phase)
구축 (contraction): Fibroblast가 myofibroblast로 전환되면서 창상 부위의 수축을 유도
재구성 (remodeling): ECM의 콜라겐을 분해하고 다시 단단하게 합성하면서 창상 장력이 증가
창상 치유 21일-4주(증식기)까지는 콜라겐 축적이 증가하고, 그 이후는 콜랴겐 양이 증가하진 않지만, 지속적인 리모델링으로 단단하고 체계적인 구조물로 다시 재구성되며 창상 장력이 증가함. 창상 재구성의 과정은 수개월에서 수년까지 지속됨.
창상 치유를 방해하는 요인
감염
조직허혈
당뇨
방사선
고령
영양불량
비타민 C, A 결핍
미량원소 결핍 (아연, 철)
약물 : glucocorticoids, doxorubicin
비정상 창상 치유
상처가 아물고 나면 흉터가 남기 마련인데, 흉터가 발생할 때 과도한 콜라겐 축적이 발생하는 경우 proliferative scar가 형성될 수 있다.
좌 : keloid , 우 : hypertrophic scar
비후성 흉터 (Hypertrophic scar) : 기존 창상의 boundary 에 국한되어 융기된 흉터가 발생하는 경우.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 호전됨
치료
Linear hypertrophic scar
6주~3개월차 → pressure therapy
6개월 이후 → silicone therapy
상처 비후가 지속되는 경우→ 2-4주마다 국소 triamcinolone 주사요법
1년 이후에도 상처 비후가 지속되는 경우 → surgical scar revision 고려
Widespread hypertrophic scar (심한 화상, 물리적 외상, 괴사성 감염 등)
상처 봉합 이후 가능한 빨리 silicone + compression therapy 시행
보조적 corticosteroid 국소 주사 고려
레이저 치료 고려 (pulsed dye laser, CO2 laser)
기능적 손상이 있다면 조기 수술 권고 (경부, 액와부 화상에 의한 구축 등)
켈로이드 (Keloid) : 기존 창상의 boundary를 벗어나서 자라나는 흉터. 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음.
치료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 silicone dressing + pressure therapy (1st line)
(+ 보조적 국소 5-FU, bleomycin, verapamil 주사 요법 고려)1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수술적 제거 + 보조적 steroid 주사 / 국소 방사선요법 고려
예방
과도한 장력이 걸리지 않게 주의
실리콘 드레싱 + 압박요법
적절한 보습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