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 심전도 총론

6) T wave / QT interval

기본 개념

T wave/QT interval

[정상 소견]

  • T wave: 심실의 재분극을 반영

  • 정상 T wave

    • aVR , V1을 제외한 대부분의 lead에서 upright T wave

    • Amplitude: 직전 QRS amplitude의 ½ ~ ¼ 정도가 정상 수치

      < 5mm in limb leads, < 8~10mm in precordial leads

  • 정상 QT interval: RR interval 의 ½ 이하 / 450~460ms 이하 (정확하게는 교정된 QTc 값으로 평가)

    • 대략적으로 처음 Q wave 시작 지점과 다음 Q wave 시작 지점 사이를 반으로 나누는 선보다 앞에서 T wave가 끝나면 정상 QT interval


[비정상 T wave]

  • Tall T: hyperacute MI, hyperkalemia

  • T wave inversion: MI (+Wellen’s syndrome), BBB, LVH, HCMP, pulmonary embolism (s1q3T3), 뇌압증가, (소아에서 V1-3 T wave inversion은 정상 소견)

  • Biphasic T wave: MI (wellen’s syndrome), hypokalemia

  • NSST changes (nonspecific ST-T wave changes): 정상 t wave가 관찰되는 것은 아니지만, 명확한 질환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 → 과거 ekg 및 임상 양상과 종합해서 평가


[비정상 QT interval]

  • QT prolongation: hypocalcemia, hypokalemia, Class IA/III 항부정맥제 (amiodarone, procainamide)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