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폐종양

고립성 폐결절 (SPN)

기본 개념

고립성 폐결절 (SPN)

  • 정의: 영상 상의 폐 내의 결절 음영


1) 조치 개요


2) 특정한 양성 석회화 패턴 → 매년 CT로 관찰


3) 고립성 폐결절 (SPN) 카테고리 구분법: 국가 폐암 검진 (Korean Lung-RADs 기준)

  • 첫 검진에서,

    • 고형 결절 ≥ 15mm : 즉시 CT촬영, 생검 고려

    • 반고형 결절 ≥ 8mm : 즉시 CT촬영, 생검 고려

    • 간유리음영 결절 : LDCT로 경과관찰

  • 커진 결절이나 이전 영상에 없던 새로운 결절이면,

    • 고형 결절 ≥ 8mm : 곧바로 CT촬영, 생검 고려

    • 반고형 결절 ≥ 8mm 또는 반고형 결절 ≥ 6mm + 고형 ≥ 4mm : 곧바로 CT촬영, 생검 고려

    • 간유리음영 결절 : LDCT로 경과관찰


[1] Harrison 21e, pg.602~604

[2] 국가 폐암 검진

[3] Radiology Key - nodules and masses, Attenuation: Calcification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