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 개요
정의: pleural space에 gas가 차는 경우
증상: 호흡곤란, 흡기 시 악화되는 흉통
신체검사: 병변 부위 타진상 과공명, 호흡음 감소
CXR : Visceral pleural line 보임, pleural line 바깥으로 vascular marking 소실, hyperlucency
분류
분류별 정의
Spontaneous vs Acquired
Spontaneous Pneumothorax(자연 기흉) = 특별한 선행 외상 없이 기흉이 생긴 경우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원발성 자연 기흉) = 폐질환이 없는 사람에서 나타난 spontaneous pneumothorax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이차성 자연 기흉) = 폐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나타난 spontaneous pneumothorax
Acquired pneumothorax = 선행 외상에 의해 기흉이 생긴 경우
Tension vs Simple
Tension Pneumothorax(긴장성 기흉) = 흉강 내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여 흉강 내 구조물의 압박을 유발하는 경우
Simple Pneumothorax = Tension Pneumothorax가 아닌 경우
Open vs Closed
Open Pneumothorax(개방성 기흉) = 흉벽의 손상으로 외부의 공기가 흉막 공간으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기흉
Closed Pneumothorax(폐쇄성 기흉) = 흉벽의 손상 없이 발생한 기흉
[1] Harrison 21e, pg.2200
[2] Spontaneous Pneumothorax: Pathophys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Diagnosis
원발성 기흉(원발성 자연 기흉)
임상양상: 마르고 젊은 환자, 흡연력
치료
숨참 없음 and size 2cm 미만(Small): 산소 공급 + 휴식
숨참 or size 2cm 이상(Large): 바늘흡인 → 실패 시 가슴관 삽입
수술 적응증 (VATS bullectomy ± pleurodesis)
second ipsilateral pneumothorax
First contralateral pneumothorax
Synchronous bilateral spontaneous pneumothorax
5-7일간 CTD로 배액이 지속되는 경우
spontaneous hemothorax
파일럿, 잠수부, 임산부
이차성 기흉(이차성 자연 기흉)
원인: COPD, 결핵 등
치료: 가슴관 삽관 (기저 질환이 있어서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고 재발의 위험이 높기 때문) / 재발 예방을 위해 첫번째 episode 부터 수술적 치료 시행할수도 있음 (다만 선지에 흉관 삽입이 같이 있으면 흉관 삽입이 우선!)
[1] Harrison 21e, pg.2200
긴장성 기흉
원인: 기계환기 (barotrauma), CPR, 외상
증상: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 저혈압, 의식저하
CPR 동안에 앰부백 짜는 것이 뻑뻑, 기계환기 동안에 들숨 최고압력이 높을 경우 의심
치료
응급바늘감압 (2nd ICS, midclavicular line에 삽입), 산소투여
그후 가슴관삽관
[1] Harrison 21e, pg.2200
외상성 기흉, 의인성 기흉
외상성 기흉: 가슴관 삽입
의인성 기흉 (CVC 삽입 등): 산소투여,바늘흡인 → 호전X: 가슴관삽입 (단, 기계환기 중 기흉 발생 시에는 긴장성 기흉 예방 위해 바로 삽입)
[1] Harrison 21e, pg.2200
개방성 기흉 드레싱
개방성 기흉은 three sided occlusive dressing을 하여 흡기엔 닫히고, 호기엔 열려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1] Emergency Care 14e, pg.879~880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