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 대처 및 처치
(1) 성폭행 피해자에 대한 진료의사 대처
진료동의서 확보 (가장 우선)
경찰에 연락
피해자 언어로 당시 상황 기록, 진찰, 피해자의 의류를 종이 가방에 보존, 검사 위한 검체 채취, 기록위한 사진 촬영 등
(2) 성폭행 피해자의 의학적 처치
우드등: 정자, 정액 검출
회음부 빗질, 질액 채취 (정자유무 확인)
임신검사(소변 또는 혈액), 혈액검사 (매독, HBsAg, anti-HBsAb, HBcAb, HIV-Ab)
타액 배양: 임질, 클라미디아, 헤르페스, 트리코모나스, ABO 항원 분비형 여부 확인검사
(3) 치료
응급 피임: Levonorgestrel(3일) / Ulipristal acetate (5일) / Copper IUD(7일)
B형 간염 노출 후 예방 : 과거 접종받은 적 없거나 항체 없는 경우 시행
HPV 예방접종 : 접종이 권고되는 나이에서 접종력이 없거나 불완전하면 시행.
예방적 항생제 :
Ceftriaxone 500mg IM 단회 접종 → gonorrhea 예방
Doxycycline 100mg PO BID, 7일 간 투여 → chlamydia 예방
Metronidazole 500mg PO BID, 7일간 투여 → trichomonas 예방
파상풍 : 깊은 상처나 물린 상처가 발생한 경우 시행.
HIV PEP 투여 : 72시간 이내라면 투여, 그 이상 시간이 경과한 경우 예방효과가 없음. 투여 예정이라면 HCV 감염에 대한 검사도 추가로 시행해야함. (HIV와 HCV coinfection 가능성)
Tenofovir DF + emtricitabine + raltegravir or dolutegravir
(4) 추적검사
임신반응검사 재검 (4~6주 후 시행)
매독 감염 검사 재검 (4~6주, 12주)
HIV 항체 검사 재검 (6, 12, 24주)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1119~1120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