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부인과 감염질환

질염 (vaginitis)

기본 개념

부인과 질염 정리

  • 질염 검사: 젖은펴바른표본(Wet smear)

  • 정리

세균성 질염 (Bacterial vaginosis)

  • 원인균 : Gardnerella vaginalis (m/c)

  • 임상양상 : 냄새나는 묽은 회백색의 질분비물, 가려움증, 성관계 후 냄새 악화 등

  • 진단 (다음 중 3가지 이상 만족)

    • 묽은 회백색의 질 분비물

    • 질분비물 pH > 4.5

    • 젖은도말검사(wet smear) 에서 clue cell 확인
      (질 상피세포 주위를 균이 둘러싼 모습)

    • Whiff test (+) : wet smear 시 KOH 떨어뜨리면 fish-like odor 가 발생

  • 치료: Metronidazole (경구, gel), Clindamycin 크림 (파트너 치료는 필요하지 않음)
    *Trichomonas 감염이 동반될 수 있음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883-884

[2] CDC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Treatment Guidelines, 2021. pg. 85-86

트리코모나스 질염 (Trichomonas vaginitis)

  • 원인균 : Trichomonas vaginalis(질편모충)

  • 임상 증상: 무증상 / 냄새나는 화농성 질분비물, 심한 가려움증 등

  • 진단

    • 냄새나는 화농성/녹색 질 분비물

    • Strawberry cervix (자궁 경부의 발적)

    • 질분비물 pH > 5.0

    • 젖은도말검사 (wet smear) : 편모충 확인

    • BV 가 동반될 경우 clue cell, Whiff test도 양성이 나올 수 있음

  • 치료

    • Metronidazole (PO), Tinidazole (PO)

    • 항생제 젤은 권고되지 않음

    • 파트너도 반드시 치료, 환자와 파트너 모두 완치될 때까지 금욕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885-886

[2] CDC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Treatment Guidelines, 2021. pg. 89-90

칸디다 질염 (Vulvovaginal candidiasis)

  • 원인균 : Candida albicans (m/c), candida glabrata, candida tropicalis 등

  • 임상증상 : 무증상, 심한 소양감, 다양한 양상의 질분비물, 성교통, 작열감, 배뇨통

  • 위험요인 : 면역억제 (당뇨, 임신, 스테로이드, 스트레스 등)

  • 진단

    • 흰색의 덩어리진 치즈 양상의 질 분비물 (octtage cheese discharge)
      혹은 분비물이 거의 없거나, 매우 묽을 수도 있음

    • 외음부의 발적, 부종, 소양감

    • 젖은도말검사 상 yeast cell과 hyphae확인

    • Whiff test 음성

  • 치료

    • 경구제제 : Fluconazole

    • 국소제제 : Clotrimazole 크림, miconazole 질정, tioconazole 크림 등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887-889

[2] CDC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Treatment Guidelines, 2021. pg. 92-93

위축성 질염 (Atrophic vaginitis)

  • 원인 : 에스트로젠 결핍 (폐경, 난소 부전 등)

  • 증상 : 성교통, 질 점막 건조, 위축, 작열감, 소양감

  • 치료 : 에스트로겐 질 크림/질정
    (다른 폐경기 증상이 동반될 경우 호르몬 치료를 고려. 폐경 단원 참조)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891

탈락성 염증성 질염 (Desquamative inflammatory vaginitis)

다량의 화농성 질분비물이 발생하고 질 상피세포의 탈락을 동반하는 광범위한 삼출성 질염으로, 대개 다른 원인의 질염/감염을 우선 감별하고 배제적 진단을 시행한다.

  • 증상 : 다량의 화농성 질분비물, 질 상피세포의 탈락, 소양감, 작열감, 성교통 등

  • 원인 : 비감염적 질환. 정확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음. Normal flora의 구성에서 유산균(lactobacilli)의 비중은 줄고, 그람 양성 구균의 비중이 증가해있는 상태를 보임. 폐경기 전후, 또는 다른 질염을 제대로 치료받지 않은 경우 발생할 수 있음

  • 검사 소견

    • 질분비물 pH > 4.5

    • 젖은 도말 검사 : 상피세포보다 염증 세포, 백혈구, parabasal cell이 더 증가한 양상

  • 치료

    • 국소 clindamycin (1st)

    • 국소 스테로이드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890

[2] Uptodate : Desquamative Inflammatory Vaginitis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