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일차성 무월경

뮐러관 무발생 (MRKH syndrome)

기본 개념

뮐러관 무발생 (MRKH syndrome)

  • 정의: 뮐러관이 무발생되는 질환

  • 임상 양상 (요약: 여자인데 자궁만 없다)

    • 염색체적 성: XX

    • 생식기적 성: 난소

    • 형태학적 성: 외부 여성 생식기(짧은 맹관의 질)

    • 자궁/난관 없음

    • 유발발달/체모발달: 정상 유방, 체모 발달 정상

    • 원발성 무월경 (자궁이 없으므로 월경을 하지 않는다)

  • 비뇨기계 및 척추 기형 동반 흔함

    • 비뇨기계 평가 : 정맥깔때기조영술(IVP) / MRI

    • 척추 평가 : X선 검사 필요


[MRKH syndrome과 AIS의 감별]

2차 성징(유방 발달)이 있으나 자궁이 없어서 일차성 무월경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AISMRKH이다. 이 둘의 가장 쉬운 감별점은 성염색체 및 음모의 존재 여부이다.


[1] 부인과학, 6판. pg. 454-456

추가 개념

발생학적 기전

1개의 글


by

doctoract

·

2024년 9월 4일

MRKH syn과 AIS의 감별 표에서 AIS가 음모가 없는거고 MRKH syn이 음모가 있는거죠??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