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자궁 체부 양성 질환

자궁내막 증식증

기본 개념

자궁내막 증식증

  • 정의: 자궁 내막의 분비샘(gland)과 간질(stroma)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

  • 의의: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할 수 있음

  • 발생 원인: Unopposed Estrogen (프로게스테론의 길항작용없이 지속된 에스트로겐 자극)

  • 위험인자

    • 만성적 무배란: PCOS

    • 에스트로겐 노출: 비만, Tamoxifen, 호르몬요법, 에스트로겐 분비 종양(granulosa cell tumor, thecoma 등)

  • 증상: 비정상 자궁출혈 (에스트로겐 파탄성 출혈), 월경 과다

  • 진단

    • 질초음파 : 자궁 내막 두께 측정 → 폐경 전 14mm 이상 / 폐경 후 4mm 이상일 경우 조직검사(자궁내막생검) 필요

      ** 그 외에도 45세 이상이면서 비정상 자궁출혈이 있는 경우, 또는 45세 이하의 연령에서 비정상 자궁출혈이 있으면서 비만, PCOS 등의 위험인자 등이 있고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자궁내막생검의 적응증

    • 자궁내막생검 → 확진, 조직학적 분류 확인, malignancy 여부 배제

  • 조직학적 분류 (WHO 1994) (구조적으로 샘구조의 복잡성(complexity), 밀집도(crowding)에 따라 단순성(simple)과 복잡성 (complex)로 분류, 세포학적으로 핵의 비정형성(atypia) 유무에 따라 분류)

    • 단순 증식증 (Simple hyperplasia)

    • 복합 증식증 (Complex hyperplasia)

    • 단순 비정형 증식증 (Simple hyperplasia with atypia)

    • 복합 비정형 증식증 (Complex hyperplasia with atypia)

    ** EIN 분류체계: 자궁내막증식증이 양성의 과증식 상태와 전암병변 상태로 구분된다는 이론을 반영하여 benign endometrial hyperplasia와 전암병변으로서 endmetrial intraepithelial neoplasia의 2가지 카테고리로 분류
    ** WHO 2014 분류: 암으로의 진행 가능성은 비정형성의 유무 및 정도와 관련된다는 점을 반영하여 non-atypical endometrial hyperplasia와 atypical endometrial hyperplasia의 2가지 카테고리로 분류

  • 치료

    • 정형 증식증 (non-atypical):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자연관해율이 높으며,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성도 높다

      • 프로게스틴 제제 (medroxyprogesterone acetate=Provera, megestrol acetate, LNG-IUD)

    • 비정형 증식증 (atypical)

      • 자궁 절제술 (TOC)
        : 비정형 증식증의 경우 자궁내막암을 동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향후 자궁내막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자궁 절제술이 가장 확실한 치료

      • 프로게스틴 제제 (Provera, megestrol acetate, LNG-IUD)
        : 환자가 가임력 보존을 강력히 원하거나, 수술이 어려울 경우 고려. 약물치료시 매 3개월마다 자궁내막생검을 포함한 추적검사가 필요

        • 추적검사시 자궁내막이 정상화가 되었다면 프로게스틴 주기 요법을 12개월간 유지하고, 매년 자궁내막 생검 고려. 임신을 원할 경우 배란 유도 시행.

        • 추적검사시 비정형 증식증이 지속된다면 고용량 provera를 3개월 투여한 후 재검사. 호전 없을 경우 자궁절제술 시행


[1] 부인과학 6판. pg. 411-418

[2]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516-518

[3] ACOG Clinical Consensus No.5 2023 : Management of Endometrial Intraepithelial Neoplasia or Atypical Endometrial Hyperplasia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