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합병증
1) 요관 손상 (Ureteral injury)
수술 직후 옆구리 통증 호소시 의심
검사 : 정맥 신우 조영술 및 요검사 → 주로 ureterovesical junction 에서 호발
조치 : 방광경 하 카테터를 요관으로 통과시키기
카테터가 통과한다면 카테터를 4-6주동안 유지
카테터가 통과하지 않는다면 개복/복강경 수술을 시행하여 폐쇄 부위 복구
예방 : 부인암 수술 등에서 요관손상이 높다고 평가된다면 예방적으로 요관 스텐트 (DJ stent)를 삽입한 후 자궁절제 및 골반림프절절제를 시행
2) 요폐 (urinary retention)
드물게 발생
요도 폐색이 없다면 주로 통증이나 마취로 인한 방광이완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임
치료: 폴리카테터 유치 12-24hr
3) 방광 손상, 누공 (Bladder injury & fistula)
진단 및 치료 : 샛길 단원 참고
출혈 (Hemorrhage)
출혈 확인
질출혈: 질 원개부위 / 결찰부위 출혈
후복막 출혈 : 질출혈이 거의 없이 혈압저하, 빈맥, Hb 저하, 옆구리/복부통증 발생시
처치
수술 후 2-3시간 계속되는 출혈의 경우 지혈조작 부족을 시사
→ 큰 질경을 이용하여 수술 부위 관찰
출혈량이 많지 않다면 한두번 봉합을 시행하여 지혈
출혈량이 많을 경우 수술실로 이동하여 전신마취 후 지혈, 결찰, 봉합 시행
(난소 동/정맥과 자궁 동/정맥은 대량출혈의 흔한 원인이며, 내장골동맥의 결찰이 필요할 때도 있음)
후복막출혈이 의심되는 경우 : 수액공급, 수혈 및 초기소생술 + CT 촬영
→ 혈관조영 색전술 고려 또는 시험적 개복술 및 혈종 제거 시행
수술부위 감염 (Surgical Site Infection)
광범위 항생제
주로 Piperacillin-tazobactam 혹은 ceftriaxone + clindamycin or metronidazol을 사용
골반 신경 손상
부인암 수술 중 골반림프절절제를 시행할 때 골반 신경 손상의 위험이 높으며, 특히 Obutrator nerve 의 손상이 흔하게 발생하므로 주의해야한다.
골반 신경 각각 담당하는 감각과 운동은 다음과 같다.
방광 신경 손상
방광의 수축과 이완 기능은 크게 두가지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이 두가지 신경이 손상되면 방광 기능에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Hypogastric nerve : 교감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에 해당하며, 방광을 이완시키며, bladder outlet 을 수축 → 소변을 참는 기능
Pelvic splanchnic nerve : 부교감신경계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작용으로 방광을 수축시키며 bladder outlet을 이완 → 소변을 보는 기능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