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천식

운동 유발성 기관지수축

기본 개념

운동 유발성 기관지수축 (Exercise induced bronchoconstriction)

  • 정의: 운동 후 급성 기관지 수축이 나타나는 경우

    • “운동 유발성 천식”이란 용어가 혼용되지만, 운동이 천식의 독립적 위험인자가 아니라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수축을 일으키는 trigger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운동 유발성 천식보다 운동 유발성 기관지수축이 더 적절한 용어이다.

    • 천식 환자와 천식이 아닌 환자에서 운동 후 급성 기관지 수축이 나타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비만, 운동 부족, 성대기능이상 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 특징적으로 운동이 끝난 후(운동 중이 아님) 증상 시작, 30분내로 호전

  • 차고 건조한 기후에서 더 잘 발생 (아이스하키 등)

  • 진단: 운동유발 폐기능검사(FEV1을 운동 후 5분, 10분, 15분, 30분에 측정하여 운동 전에 비해 10% 이상 감소한 경우 진단)

  • 예방

    • 운동전 준비운동, 마무리운동, 추운 환경 회피

    • 가장 좋은 운동은 수영.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 과호흡을 유발하는 운동은 악화위험

    • 운동 전 SABA or ICS/LABA 투여 + 평소 ICS 유지치료

    • 규칙적으로 운동해야하는 경우: LTRA 사용 가능


[1] 2021 한국 천식진료지침 pg. 102~103

[2] 2022 천식 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160

[3] 2023 GINA Report, pg. 114

[4] Harrison, 21e. pg 215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