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화기 질환 (간 및 담도 질환)

B형 간염

기본 개념

B형 간염

  • 주로 HBsAg (+) 임산부로부터 출생으로 인한 수직감염이 소아에서 가장 중요한 전파 형태 (90%이상 만성 HBsAg 보유자 됨)

  • 급성 B형간염증상: 대부분 무증상 / 유증상 A형과 유사

  • 진단: 소화기내과 간염 파트 참고

  • 급성 B형 간염시 치료: 보존치료

  • 노출 전 예방: 모든 영유아, 의료계, 성 접촉 위험 높은 군

    • 3회 (0, 1, 6개월) 근육주사

  • 노출 후 예방: 가해 s(+) & 피해 s(-)경우

    • 주산기: 즉시 HBIG + 12시간 내 백신

  • 만성 B형간염 치료

[2011 KASL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HBeAg 양성 만성 B형간염 소아청소년에서 혈청 HBV DNA ≥ 20,000 IU/mL인 경우, 6개월 이상 AST 혹은 ALT가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이거나 간생검에서 중등도 이상의 염증괴사 소견 혹은 문맥주변부 섬유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치료를 권장한다.

  • 소아청소년 만성 B형간염의 초치료 약제로 라미부딘 또는 인터페론 알파 사용을 고려, 16세 이상에서는 엔테카비어를 고려한다. 페그인터페론, 엔테카비어, 테노포비어는 현재까지 소아 대상 연구가 부족하지만 성인 자료에 근거하여 사용을 신중히 고려할 수 있다.

  • 면역 관용기의 소아에서 치료는 효과가 없으며, 불필요한 치료로 약제 내성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 나중에 치료 선택이 제한된다. 치료를 결정하는데 연령, 간조직 소견, 간경변증이나 간세포암의 가족력이 도움이 된다. 비만 소아에서는 지방간으로 인하여 ALT가 상승한 것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