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ing EKG
by
에이스
·
2023년 5월 14일
심전도가 Tall T wave를 나타내고 있는 것 같은데.. Tall T wave일 때는 resting EKG를 운동부하심전도를 할 수 있는 적응증에 해당되는 지 궁금하고,,,
Tall T wave가 아니라면 왜 아닌지 알고 싶습니다..
1개의 의견
전공의시험가즈아
·
2023년 5월 14일
일단 문제 자체는 “운동할 때 가슴 통증 → Stable Angina 의심 → 운동부하심전도 검사로 확인” 으로 풀면 되는 간단한 문제인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자 분께서 ‘적응증’이라는 표현을 쓰셨는데, 문제 상황은 stable angina가 의심돼서 운동부하심전도 검사를 해야 하는 것이지, tall t wave 때문에 운동부하심전도 검사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운동부하심전도의 금기(대표적인 2가지가 ① 뛰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 - 휠체어 환자 등등 ② resting EKG에서 ST segment에 이상 소견이 있어서 운동부하심전도 결과가 나와도 해석이 헷갈릴 여지가 있는 상황)에 해당되는지 보아야 하는데, tall t wave가 있다고 운동부하심전도에 금기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tall t wave의 원인으로 hyperkalemia, MI, LVH, LBBB 등이 가능한데, 본 문제는 LVH나 LBBB에 의한 tall t wave인 것으로 보입니다. upTodate 찾아보니 hyperkalemia에 의한 tall t wave랑 그 외 원인에 의한 tall t wave랑 모양이 좀 다르다고 하긴 하는데, (아래 사진 참고) 이걸 요구하는 국시 문제는 본 적이 없고, 본 문제의 lab에서 K+ 수치를 주었으니 쉽게 감별 가능합니다.
출처: https://www.uptodate.com/contents/ecg-tutorial-st-and-t-wave-changes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