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COPD

기본 개념

COPD

  • 정의: 기도와 폐 실질의 이상에 의한 비가역적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 원인 : 흡연(m/c), 분진 및 가스 노출력, cystic fibrosis

  • 병태생리: 만성적인 irritant 노출에 의해 large airway, small airway (≤2 mm), alveolus에 염증과 변형이 나타나는 질환
    만성 기관지염 + 세기관지 질환 + 폐기종이 복합적으로 발생

  • 임상양상
    : 호흡곤란, 만성기침, 흰색 가래, 쌕쌕거림 + 고령, 흡연력 多 + 점차 진행하는 양상

  • 영상검사

    • CXR

      Hyperinflated lungs, diaphragm flattening, small heart, decreased parenchymal markings/hyperlucency, barrel chest (AP diameter 증가), saber-sheath trachea (sagittal diameter > coronal diameter)

    • CT: emphysema 유무/패턴, 기도의 염증, bronchiectasis/ILD등의 동반질환 여부 등의 평가에 용이

      A: centrilobular emphysema

      B: panlobular emphysema

      C: paraseptal emphysema

  • 진단 및 검사 : 폐기능검사 (비가역적 폐쇄 확인)

    • 기관제 확장제 투여 후 FEV1/FVC < 70% 임을 확인

    • DLCo 감소 (emphysema로 인해 확산능 감소)


[1] Harrison 21e, pg.2180-2186

[2] 2018 COPD 진료지침 pg. 3, 21

COPD 치료

[중등도 평가]

  • mMRC

    → mMRC 2가 가장 중요 (암기팁: mMRC 22명이서 같이 걸으면 천천히 걷게 되는 것)

  • CAT: 삶의 질 평가 (행복/잠/기운, 증상 수준, 활동) → 10점 이상은 QoL 저하


[초기 약물치료]


[추적관찰 및 약물 조정]

  • 초기 약물로 잘 조절이 된다면 초기 약물 유지

  • 초기 약물 투여에도 호흡곤란이나 급성 악화가 발생하는 경우 아래의 알고리즘에 따른 약물 조절 필요 (둘 다 나타난다면 급성 악화 알고리즘을 따름)


[비약물치료]

1) 장기산소치료(>15시간/day) 적응증

① PaO2 ≤ 55 mmHg or SaO2 ≤ 88%

② (55 < PaO2 < 60 mmHg or SaO2 = 89%) & 폐고혈압(폐성심 등), 우심부전 증상(말초부종 등), Hct>55% 등

2) 금연/위험요인 조절

3) 예방접종: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RSVpreF vaccine (60세 이상), Tdap, VZV

4) 육체적 활동/호흡재활

5) Lung volume reduction surgery: severe COPD, predominantly upper lobe emphysema, low exercise capacity 를 보이는 선별된 환자에서 생존율 향상


[COPD 치료 약제]


[1] 2024 GOLD Report, pg. 32, 48-72

[2] 2018 COPD 진료지침, pg. 47, 49~54, 183~18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