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망상장애

기본 개념

망상장애

임상양상

  • 망상의 형태는 비교적 잘 구조화 되어 있고(기본전제가 비합리적이지 않다면) 논리적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체계적

  • 의식은 명료, 사고과정의 장애X

  • 조현병과 달리 망상체계 밖에서는 정상적인 사고, 정동 및 행동


진단기준

A. 1개월 이상의 지속 기간을 가진 한 가지 이상의 망상이 존재

B. 조현병의 진단기준 A맞지 않음

C. 망상의 영향을 제외한 부분에서 기능과 행동의 손상은 없다.

**망상장애에서 환각이 동반될 수 있다. 하지만 뚜렷하지 않고, 망상 주제와 연관되는 환각으로 조현병의 환각과 구분된다.

ex: 벌레가 우글거린다는 망상과 연관된 벌레가 꼬이는 감각(환각)


아형

  • 피해형(m/c): 자신이 음모, 속임수, 염탐, 추적, 악의적 비방을 당하고 있음

  • 질투형: 자신의 배우자나 연인의 외도(의처증, 의부증)

  • 색정형: 지위가 높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음(스토커)

  • 신체형: 신체적 기능이나 감각, ex)자신이 악취를 풍김, 피부 속 벌레가 산다

  • 과대형: 스스로 굉장한 재능이나 통찰력을 가짐, 중요한 발견을 하였다는 내용


치료

  • 치료원칙

  • 환자가 협조할 수 있도록 인내심을 가지고 격려

    • 환자들은 스스로의 정신과적 문제를 갖고 있다는 전제에 반대하여 틀린 논리로 치료의 필요성을 부인하기 때문

  • 초기에 망상에 대해 동의해서도 도전해서도 안됨

  • 망상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은 피함

    • 망상이 어느정도로 확고한지 질문은 필요함

  • 망상 자체를 치료하기 보다는 불안, 이자극성, 불면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강조

  • 망상의 내용에 대해 동의하지 않아야함

    • 대신, 환자의 입장에서 이런 생각이 곤혹감을 유발한다고 표현

  • 최종적으로 망상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도록 함

  • 망상으로 인해 보게 되는 환자의 손해를 부드럽게 지적망상을 포기하도록 함

    • 환자의 손해란; 불면, 불안 증상의 증세와 망상적 믿음으로 인해 사회경제적 활동이 제한되는것


  • 약물치료: 항정신병약제

추가 개념

달리 명시되지 않은 망상장애

카그라증후군

친숙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 의해 대체되었다는 믿음(ex. 다른 사람이 엄마의 탈을 쓰고 엄마인척 하는것)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