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장애
1형 양극성 장애 진단기준
A. 진단 기준은 적어도 한 번의 조증삽화를 만족하는 것
B. 발생하는 조증삽화와 주요우울삽화는 다른 정신질환으로 설명되지 않음
조증삽화의 진단기준
A.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의기양양하거나, 과민한 기분, 그리고 목표 지향적 활동과 에너지의 증가가 적어도 1주간 거의 매일, 하루중 대부분, 지속되는 분명한 기간이 있음
B. 기분장애 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중 3가지 이상이 나타남. 단, 기분이 과민하기만 하면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1.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성
2.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3.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끊기 어려울 정도로 말을 계속함
4.사고의 비약
5.주의산만
6.목표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초조
7.고통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 몰두 (사업, 과소비 등)
**주의: 항우울치료 중 나타난 조증삽화라 할지라도 그 치료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기간 이후까지 명백한 조증 증상이 지속된다면, 제 1형 양극성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조증 환자의 2/3에서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남
2형 양극성 장애 진단기준
A. 적어도 한 번의 경조증 삽화와 적어도 한 번의 주요우울삽화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킴
B. 조증삽화는 한 번도 없어야함
경조증삽화의 진단기준
A.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의기양양하거나, 과민한 기분, 그리고 목표 지향적 활동과 에너지의 증가가 적어도 4일 연속으로 거의 매일, 하루중 대부분, 지속되는 분명한 기간이 있음
B. 기분장애 및 증가된 에너지와 활동을 보이는 기간 중, 다음 증상 중 3가지 이상이 나타남. 단, 기분이 과민하기만 하면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1.자존감의 증가 또는 과대성
2.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3.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끊기 어려울 정도로 말을 계속함
4.사고의 비약
5.주의산만
6.목표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초조
7.고통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활동에 몰두 (사업, 과소비 등)
치료
약물치료: 기분조절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Li, 비정형 항정신병을 기본으로 조증 → Valporate, 우울 → Lamotrigine으로 틀을 잡는다.
비약물적 치료: 정신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
양극성 장애의 특성형
양극성장애의 특정형은 주요우울장애의 특정형과 유사하지만 급속 순환성 동반, 혼재성 양상에 차이가 있다.
급속 순환성 동반
지난 12개월 동안 조증, 경조증, 또는 주요우울 삽화가 4회 이상 발생
치료: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기분안정제
혼재성 양상 동반
조증/경조증, 우울삽화가 동시에 발생하는것
치료: Valporate,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2차 약제: Li
약물 치료 심화
양극성 장애의 치료는 크게 급성기/유지기 치료, 조증/혼재성/우울 삽화로 나뉜다.
급성기 치료
조증 삽화
1차 약물: Lithium, Valporate,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양극성 우울
1차약물: Lithium, Lamotrigine, Quetiapine
2차약물: Olanzapine, Lurasidone, Valproate
유지 치료
Lithium, Valproate, Lamotrigine,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Lamotrigine은 조증보다 우울증 예방효과가 좋음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