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양상
임상양상
강박사고
반복적, 자아 비동조적, 침습적인 사고, 영상, 충동
강박행동
강박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안심을 얻게되는 행위
진단기준
A. 강박사고나 강박행동, 또는 둘 다 존재한다.
강박사고는 (1)과 (2)로 정의된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사고, 충동, 또는 영상으로서 장애 기간의 어느 시점에서 침습적이고 원치 않은 것으로 경험되며, 대부분의 경우 뚜렷한 불안과 고통을 야기
(2) 개인은 이러한 사고, 충동, 또는 영상을 무시하거나 억제하려고 노력하거나, 다른 생각이나 행위(강박행동)로 중화시키고자 함
강박행동은 (1)과 (2)로 정의된다.
(1) 반복적인 행동(손씻기, 줄맞추기,확인하기) 또는 정신적 활동(기도, 숫자세기, 속으로 단어를 반복하기 등)으로서, 강박사고에 대한 반응이거나 엄격하게 지켜져야 하는 규칙에 의해 그렇게 해야만 할 것 같은 압박을 느낌
(2) 행동이나 정신적 활동은 고통을 예방/경감시키거나 어떤 무시무시한 상황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실제로는 목적과 현실적인 관련이 없음. 또한, 이러한 행동 및 정신적 활동은 뚜렷하게 지나침
치료
약물치료: SSRI -1st, Clomipramine
비약물적 치료
행동치료
노출과 반응방지
노출의 방법: 상상적 노출, 체계적 탈감작화, 홍수법
습관화: 노출과 반응방지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며 불안 정도와 시간을 감소시킴
사고중지법: 강박적 사고가 주 증상일때
정신치료: 지지적 정신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2차 치료
Li, Valproate, Carbamazepine, Phenelzine, Buspirone, Trazodone, Clonazepam
다른 치료에 반응이 없을때
전기충격요법
정신외과적 수술요법: 대상회 절개술(Cingulotomy)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