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선택적 함구증
임상양상
수줍음, 소심함, 두려움, 공포, 신경질적인 행동, 매달리는 행동
집에서는 수다스럽게 이야기하기도 하며 정상적으로 말을 함 반면 특정 상황에서 말을 하지 않음
말을 하는 범위는 다양함(가족~친한 친구)
진단기준
A.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음
B. 장애가 학습이나 직업상의 성취 혹은 사회적 소통을 방해함
C. 이러한 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됨
D.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님
치료
비약물적 치료: 행동치료, 놀이치료, 가족치료
약물치료 : SSRI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