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해리성 기억상실
임상양상
갑작스러운 기억력의 상실 → 갑작스러운 회복
신체형 혹은 전환 증상, 의식 변화, 이인화, 현실감 상실, 자발적 퇴화 동반 가능
비전형적 증상
우울, 감정 기복, 물질 남용, 수면 장애, 신체형 증상, 불안, 공황 등
진단기준
A. 중요한 개인적 정보를 회상하지 못하는데, 대개 외상성이나 스트레스성이며, 일상적인 망각과는 부합하지 않음
B. 증상은 흔히 사회적, 직업적, 또는 기능의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고통이나 장애를 초래
C~D. 장해가 물질, 의학적, 정신과적 원인이 아니다
추가 개념
치료
** 어떤 약물 치료도 해리성 기억상실에 효과 없음
정신사회적치료: 인지치료, 그룹 정신치료, 최면
약물 매개 면담
약물은 Amobarbital, pentothal, benzodiazepine, amphetamine 사용할 수 있음
종류
국소적 기억상실: 특정 기간 동안의 일에 대한 회상이 불가능
선택적 기억상실: 특정 기간 동안에 있던 몇 가지 일만 회상하는 것이 불가능, 특정 기간 동안의 일 전체를 기억 못하는 것은 아님
전반적 기억상실: 자신이 살아온 인생 전체를 기억하지 못함
지속적 기억상실: 새로 나타나는 사건들을 기억하지 못함
체계화된 기억상실: 가족 또는 특정 사람과 관련된 일을 전부 기억하지 못함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