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기본 개념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임상양상

  • 낯선 사람에게 무분별하게 친밀한 행동

  • 청소년기: 무분별한 행동, 또래 갈등


진단기준

A. 낯선 성인에게 활발하게 접근하고 소통하면서 다음 중 2가지 이상으로 드러나는 행동 양식

1.낯선 성인에게 접근하고 소통하는 데 주의가 약하거나 없음

2.과도하게 친숙한 언어적 또는 신체적 행동

3.낯선 환경에서 양육자가 곁을 떠나도 양육자를 찾는 행동이 미약하거나 전혀 없음

4.낯선 성인을 따라가는 데 있어 주저함이 적거나 없음

B.진단기준 A의 행동은 단지 충동성으로 인한 행동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으로 탈억제된 행동 포함

C.아동이 불충분한 양육의 극단적인 양식을 경험했다는 것이 드러남

1.성인 양육자가 아동의 기본적인 정서적 요구인 위안, 자극, 애정을 지속적으로 무시하는 사회적 방임 또는 결핍

2.안정된 애착을 형성하기 어려울 정도로 주 양육자의 반복적인 교체

3.선택적 애착을 형성하기 어려운 특이한 환경에서 양육

D.아동의 발달 연령이 최소 9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치료

아동이 안전하게 양육 받을 수 있는 환경 마련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