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수면각성장애

불면장애

기본 개념

불면장애

개념: 환자 자신이 느끼기에 잠이 불충분하거나 비정상적인 상태

분류

  • 잠들기 힘든 불면증

  • 유지하기 힘든 불면증

  • 새벽에 깨는 불면증


진단기준

A. 수면의 양이나 질의 현저한 불만족감으로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과 연관 됨

1. 수면 개시의 어려움

2. 수면 유지의 어려움으로 자주 깨거나 깬 뒤에 다시 잠들기 어려운 양상이 나타남

3. 이른 아침에 각성하여 다시 잠들기 어려움

B. 수면 교란은 사회적. 직업적, 교육적, 학업적, 행동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 초래

C. 수면 문제가 적어도 일주일에 3회 이상 발생

D. 수면 문제가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

E. 적절한 수면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면 문제가 발생

F~H 다른 수면-각성장애 및 정신질환, 물질, 의학적 상태가 아님


치료

  • 비약물적 치료

    • 수면위생교육

    • 자극조절, 수면제한, 인지치료, 이완훈련 등


  • 약물치료: Benzodiazepine, Z-drug, Trazodone, 항히스타민 등

수면위생교육

  • 오랜시간, 늦은 오후 낮잠은 피한다

    • 낮 2~3시 15분 내외 낮잠은 가능하다

  • 일정한 시간에 기상한다

  • 자기 30분 이완요법(독서, 요가, 명상 등)을 시행한다

  • 새벽에 깨서 시계를 보는것은 절대 금한다

    • 시간 계산 과정에서 더욱 각성하기 때문

  • 카페인을 삼가한다

    • 아침 10시 이후에는 삼가

  • 술, 담배도 삼가한다

    • 술은 수면유도효과는 있으나 수면 유지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40분 내외 운동을 매일 하는것은 바람직하다

    • 잠들기 4~5시간 전까지는 끝내야한다

  • 잠들기 2시간전 온욕을 한다

  • 잠들기 전 과식을 피해야한다

    • 우유나 간단한 음식은 도움이 된다

  • 침실의 소음, 빛을 통제하며 온도를 적절히 유지한다

추가 개념

치료 심화

  • 비약물적 치료

    • 자극조절

      • 수면과 연관된 자극은 강화, 수면을 방해하는 자극은 약화

    • 수면제한

      • 초반엔 부분적인 수면박탈을 경험 → 수면효율↑

    • 인지치료

      •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믿음 및 태도를 찾아내어 수정

    • 이완훈련

      • 신체적 각성

        • 근전도 바이오 피드백, 근육 이완법

      • 인지적 각성

        • 명상, 상상훈련, 요가, 최면

  • 약물치료

    • Benzodiazepine

      • Flurazepam, Triazolam

    • Non-Benzodiazepine

      • Zolpidem, Zaleplon, Eszopiclone

    • 항우울제

      • Trazodone, Amitriptyline, Mirtazapine

    • 항히스타민제

      • Hydroxyzine, Diphenhydramine

    • 멜라토닌

      • 비행시차 혹은 야간교대근무, 노인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