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수면각성장애

기면증

기본 개념

기면증

임상양상

  • 주간 졸림

  • 탈력발작

    • 감정에 의해 유발되는 짧은 삽화의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양측 근육 긴장의 갑작스러운 소실

    • 소아나 급성기 환자에서 감정표현 없이 발생할 수 있음

  • 수면마비

    • 잠들기 전, 잠에서 깨어날때 의식은 깨있지만 근육에 힘이 빠짐

  • 입면시 혹은 출면시 환각

  • 야간 수면장애


진단기준

A. 억누를 수 없는 수면 욕구, 깜박 잠이 드는 것, 또는 낮잠이 하루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런 양상은 3개월 동안 적어도 일주일에 3회 이상 발생

B. 다음 중 1가지 이상이 나타남

1. 탈력발작이 1개월에 수차례 발생

2. 뇌척수액 하이포크레틴 수치가 정상인에 비해 1/3이하 또는 110pg/mL 이하

3. 야간수면다원검사에서 렘수면 잠복기가 15분 이내로 나타나거나, 주간수면잠복기 반복검사에서 평균수면잠복기가 8분 이하 & 수면 개시 후 렘수면이 2회 이상 나타남


치료

  • 주간졸림증 치료: Modafinil

  • 탈력발작 치료: Venlafaxine

추가 개념

치료 심화

  • 주간졸림증 치료

    • Methylphenidate: 내성 및 부작용 있음

  • 탈력발작 치료

    • Venlafaxine, Clomipramine, Fluoxetine, Imipramine

  • Sodium oxybate(GHB)국내에서 판매되지는 않지만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모두에 사용된다.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