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훈 개념
어지럼증 중 주위 사물, 본인이 빙빙 도는 느낌
중추성 현훈
뇌경색, TIA
수직 안진, 신경학적 증상(+)
말초성 현훈
BPPV,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미로염
회전성 수평 안진, 신경학적 증상(-)
어지럼증 감별 진단
양성 발작성 두위 현훈(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개요
말초성 현훈 중 가장 흔함
이석에 의해 발생
후반고리관 이석(1st), 수평 반고리관 이석(2nd)
임상양상
30초 이내 어지럼증 + 안진
머리가 움직이는 상황(ex. 누웠다 일어날때, 돌아누울때) 심해짐
후반고리관 이석
진단: Dix-Hallpike (외부 영상)
방법: 앉아 있는 자세에서 우측으로 머리를 돌림 → 그 자세로 바로 눕힘(머리가 검사대 보다 아래로)→ 안진을 확인
해석: 우측으로 머리를 돌린 상태에서 안진(+) → 우측 후반고리관 이석
치료: 이석 정복술(Epley maneuver) (외부 영상)
방법(우측 병변 가정시): 우측에서 반대방향(왼쪽)으로 머리 돌림 → 몸도 반대방향으로 돌림 → 그 상태로 앉힘
수평반고리관 이식
전정 신경염(Vestibular neuritis)
임상양상
상기도 감염 이후 수일~수 주간 지속되는 현훈
오심/구토 동반, 보행장애, 청각 기능은 정상
치료
경과관찰
심한 어지럼증
1세대 항히스타민제, BZD(전정억제제), 항구토제 등
스테로이드 사용이 효과있다는 연구가 있다. (출처)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임상양상
30분~3시간 지속되는 현훈
이명, 감각신경성난청, 이충만감 동반
진단
임상 진단이 base
기타: 순음청력검사, 전정검사, 전기생리검사, 측두골 MRI 등 시행가능
치료
급성기 어지럼증
1세대 항히스타민, BZD(전정억제제), 항구토제
만성기
Betahistine or 이뇨제(Thiazide, Amiloride)
생활습관 개선
저염식, 카페인, 알코올 제한
메니에르병 추가 치료
재발성, 약제 불응성 메니에르병
전신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 고실 내 주사 시도
실패시, 고실 내 젠타마이신 주사, 내림프낭감압, 전정신경절제술
미로염
전정신경염 + 청각 기능 이상
치료
기저질환 치료
원인이 바이러스→항바이러스, 세균 →항생제
스테로이드
어지럼증 치료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