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정신과 치료

항정신병 약물

기본 개념

항정신병 약물 분류

시험에서 익숙하지 않은 치료제가 선지에 나오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교과서에 있는 모든 약제를 다룰 예정이므로 최대한 암기하는것이 중요하다.

  • 정형 항정신병 약물 (~진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 자주 사용되는 약물: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할로페리돌(Haloperidol)

    • 기타: 티오리다진(Thioridazine), 페르페나진(Perphenazine), 플루페나진(Fluphenazine),록사핀(Loxapine), 피모자이드(Pimozide)

  •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핀, ~돈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 클로자핀(Clozapine), 아세나핀(Asenapine), 올란자핀(Olanzapine), 퀘티아핀(Quetiapine)

    • 일로페리돈(Iloperidone), 팔리페리돈(Paliperidone), 루라시돈(lurasidone), 리스페리돈(Risperidone), 지프라시돈(Ziprasidone)

    •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 아미설프라이드(Amisulpride)

증상에 따른 약물 선택 요약

일반적으로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일차약물로 선택한다.


  • 음성증상 동반

    • Clozapine, Amisulpride

  • 추체외로 증상 동반

    • 퀘티아핀, 클로자핀, 올란자핀

  • 강박 증상 동반

    • Amisulpride, Haloperidol

  • 체중증가, 대사장애

    • Ziprasidone, Aripiprazole

  • 치료 저항성 환자

    • Clozapine

  • 응급 상황일시

    • Haloperidol

  • 항콜린성 부작용

    • Amisulpride, Aripiprazole, Ziprapsidone



[1] 신경정신의학 3판 pg.224, 795~800

추가 개념

증상에 따른 약물 선택

일반적으로 국가고시에서 항정신병 선택은 다른 계열의 약물 중 항정신병약물을 구별하면 되는 수준이였다.

하지만 2024 KMLE에서 보기가 모두 항정신병 약제 중 추체외로 부작용이 적은 약물을 고르는 지엽적인 문제가 출제되었으므로 교과서를 있는 그대로 가져왔다.

위의 요약만으로 국가고시 풀이에 충분할것이라 생각하지만 심화 학습을 위해 첨부하였습니다.


[1] 신경정신의학 3판 pg.224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