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정신과 치료

항정신병약물 부작용

기본 개념

항정신병 약물 신경학적 부작용

1. 급성 추체외로 증상(extrapyramidal syndrome, EPS)

1) 파킨슨 증후군(Parkinsonism)

  • 투여 후 수일 ~ 수주 후 발생

  • 증상: Tremor, bradykinesia, rigidity, masked face, 침흘림, 가속보행

  • 치료

    • 약 용량 감소/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 교체

    • 항파킨슨 약물 병용

      • 트리헥실페니딜, 벤즈트로핀, 아만타딘, 브로모크립틴


2) 좌불안석증(Akathisia)

  • 투여 후 수 시간~ 수일 이내 발생

  • 증상: 움직이고자 하는 강한 욕구(발 구름, 양 다리를 꼬았다 폈다), 불안, 주관적 불쾌감

  • 치료

    • 약물 감량

    • 프로프라놀롤, 벤조디아제핀

    • 미르타자핀, 트라조돈, 미안세린, 사이프로헵타딘 → 클로니딘

    • 항콜린성 약제는 사용하지 않음


3)급성 근육긴장이상증(Acute dystonia)

  • 투여 후 수 분 ~ 수 시간 이내 발생

  • 증상: 사경(목이 돌아감), 팔다리 뒤틀림, 혀가 굳어 입 밖으로 나옴, 몸통 젖힘, 안구운동 발작

  • 치료

    • 벤조다이아제핀, 항콜린성(벤즈트로핀), 항히스타민(디펜히드라민)

2. 지연성 이상운동(Tardive dyskinesia)

  • 항정신병 약물 장기간 사용시 비정상적인 불수의적 과잉 운동 장애

  • 임상양상

    • 입과 혀를 반복해서 움직임 (입술 오므리기, 입맛 다시기 등)

    • 눈과 얼굴의 갑작스러운 움직임

    • 턱, 손발이 좌우/앞뒤로 갑자기 움직이거나 뒤틀림 등

  • 치료

    • 약물 감량이나 중단

      • 클로자핀, 퀘티아핀 으로 교체

      • 기타: 벤조디아제핀, 프로프라놀롤, 테트라베나진, 멜라토닌

3. 항정신병 약물 악성증후군(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 증상

    • 고열, 심한 근육 강직, 의식저하, 자율신경계 이상

    • 심한 구음장애, 운동불능증, 함구증, 호흡곤란 동반 가능

  • 검사소견: Leukocytosis, CK 상승, myoglobinuria, 급성 신손상

  • 치료

    • 대증치료: 즉시 투약 중단, 수액, 체온 조절

    • 근이완제(Dantrolene), 브로모크립틴

    • NMS 호전 이후: 항정신병 약물 천천히 증량

      • Quetiapine, clozapine, aripiprazole 사용

비신경학적 부작용

1) 항콜린 부작용

  • 증상: 입 마름, 시야장애, 변비, 배뇨장애, 빈맥 등 심한 경우 혼란, 환각, 혼수

  • 치료: 항콜린성 약물+항파킨슨 약물 병용


2) 혈액 부작용

  • 클로자핀에 의한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 정기적인 혈액검사가 필요함


3) 대사장애 및 체중 증가

  • 선호되는 약물: 지프라시돈, 아리피프라졸 > 리스페리돈, 팔리페리돈, 쿼티아핀


4) 고프로락틴혈증

  • 증상

    • 유즙 분비, 무월경, 성기능 이상,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

  • 치료

    • 클로자핀, 올란자핀, 쿼티아핀, 아리피프라졸, 지프라시돈 등 약제로 교체
      아만타딘, 카버고린, 브로모크립틴→사용할 수 있으나 정신 증상 악화 가능

추가 개념

신경학적 부작용 요약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