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제 분류
전통적 기분안정제: 리튬(Li), 발프로에이트(Valproate),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새로운 항경련제: 라모트리진(Lamotrigine)
기타: 가바펜틴, 토피라메이트, 옥스카르바제핀, 가바펜틴, 티아가빈, 바가바트린, 조니사마이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해당 강의록)
약제 각론
1. 리튬
적응증
양극성 장애: 조증삽화 + 우울삽화
급성 조증의 경우 치료효과가 1~3주 걸림→항정신병약물/벤조디아제핀 병용 필요
조현병의 부가요법, 충동성 및 난폭성, 식이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급성순환형 양극성 장애, 혼재성 삽화 및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되는경우 치료반응률↓
부작용
Tremor(m/c): Beta blocker 투여
위장장애(m/c)
신장: 다음, 다뇨; 장기간 투여시 만성 간질성 신염
심장: T wave inversion / flattening
갑상샘/부갑상샘: 일시적 갑상샘기능저하증, Ca/PTH↑
금기: 신기능 저하, 동기능 부전증후군, 갑상샘 기능 이상, 임신시 사용X
간기능 저하시 사용 가능
2. 항경련제
1) Valproate
적응증
양극성장애: 급성 조증삽화
다양한 양상의 조증(혼합형, 급속 순환형, 불쾌형, 정신병적 증상 동반, 리튬에 반응이 없는 경우)
부작용
위장관계 증상, 간효소 증가, 진전, 체중증가 혈소판감소증 등
금기: 임신
2) Carbamazepine
적응증: 급성 조증삽화에서 Li, valproate에 반응 없을 시 주로 사용
항우울 효과는 항조증효과에 비해 떨어짐
급속순환성, 불쾌성 조증에서 효과적
부작용: 백혈구감소증(Clozapine과 병용투여 금지), 과민성 간염
금기: 임신, 수유
3) Lamotrigine
적응증
양극성장애 유지기 치료에 효과적; 우울삽화 재발 방지
양극성 우울증 삽화, 급속 순환형 양극성장애
다만 급성기 치료 및 조증 재발방지는 미약함
부작용
두통(m/c), 구역, 구토
피부발진(굉장히 드물게 박리성 피부염)
4) 기타 항경련제
Topiramate, oxcarbazepine, tiagabine, vigabatrin, zonisamide 가 있지만 양극성 장애의 치료약물로 공인되어 있지 않음
3. 항정신병약물
급성기 조증에 투여
기분안정제의 투여 후 치료 반응은 2주가 걸려 급성기에 사용함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사용
정형 항정신병약물은 지연성 운동장애, 추체외로 증상의 위험이 더 높음
4.벤조디아제핀
클로나제팜, 로라제팜
급성기 조증환자의 초조, 불안, 공격성 감소를 위해 보조적으로 투여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