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수술 시 주의해야 할 구조물
되돌이 후두신경 (RLN, Recurrent laryngeal n)
해부 : 갑상선 아래쪽에서 들어오고 갑상선 뒤쪽을 지남 → 갑상선 하부, 후면 박리 시 손상
주행방향 : 우측은 쇄골하동맥(subclavian a)를, 좌측은 대동맥궁(aortic arch)을 한바퀴 감고 → 기관식도구(tracheoesophageal groove)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 갑상선 아래쪽에서 하갑상선동맥의 분지 사이를 지나면서 갑상선 뒤쪽, 내측으로 들어감 →이후 후두로 들어가 성대 근육 지배
역할 : cricothyroid m 제외한 성대 근육 지배
손상 시 증상 및 징후 : 일측성 →쉰목소리, 애성, 이중음성, 성대마비 / 양측성 →기도폐쇄 (응급)
위후두신경의 바깥가지 (EBSLN, Ext br of sup laryngeal n)
해부 : 갑상선 위쪽으로 들어옴 → 상갑상선 혈관 (sup. thyroid vessels) 절개, 결찰 시 손상 위험 높음
주행방향: Sup thyroid a 의 뒤쪽, 갑상연골의 표면으로 주행하여 cricothyroid m 로 들어감
역할 : 성대근육 중 cricothyroid m 지배
손상 시 증상 및 징후 : 고음장애, 발성 시 피로감
부갑상선
해부 : 개수는 1~12개로 다양하지만 보통 4개(84%)가 있다. 대부분 갑상선 뒤에 존재하며, 드물게 갑상선 내에 존재하기도 한다. → 갑상선 수술 중 언제든지 다칠 가능성이 있다
역할 : 부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임.
손상 시 증상 및 징후 : PTH 감소, 저칼슘혈증으로 인한 손발저림, 입 주위 경련 (tetany, carpopedal spasm)
[1]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65719/
[2] https://jkslp.org/upload/pdf/jkslp-26-1-13.pdf
[3]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219kjes/kjes-12-225.pdf
갑상선 수술 시 신경 손상(RLN, EBSLN)
<수술 사진을 보고 RLN과 EBSLN 구분하기>
되돌이후두신경(RLN)은 갑상선 아래에서 올라와 갑상선의 뒤쪽을 지나고, 위후두신경의 바깥가지(EBSLN)는 갑상선 위쪽에서 유입되기 때문에 갑상선의 위, 아래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나, 전공의 시험에서 제시되는 사진은 수술 사진을 찍은 위치에 따라 갑상선의 위, 아래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다만, 갑상선을 제끼지 않은 상태에서 artery가 보인다면, sup. thyroid a로 유추하여 갑상선 위쪽이라는 판단 하에 같이 보이는 신경을 EBSLN으로 생각해볼 수 있고, 그 외의 경우, 특히 갑상선을 제껴서 갑상선 후면부가 드러난 사진이 주어졌을 때는 RLN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갑상선절제술 후 합병증
혈종 (hematoma) : 응급상황
갑상선 혈종은 목을 눌러 airway obstruction (tracheal compression, laryngeal edema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응급 상황에 해당한다
증상 : 수술 후 호흡곤란, 목 수술 상처 부위에 덩이가 생긴 사진 등이 주어짐
치료 : 즉시 창상 개방 (wound opening and open drainage)
신경 손상 : RLN vs. EBSLN
되돌이 후두신경 손상 (Recurrent laryngeal n)
증상
unilateral : 쉰목소리
bilateral : 양측 성대마비로 인한 호흡곤란
위 후두신경의 바깥가지 손상 (Ext branch of Sup laryngeal n)
증상 : 고음장애, 음성피로
Hypocalcemia due to Hypoparathyroidism (부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한 저칼슘혈증)
증상 : 저칼슘혈증으로 인한 입 및 손발저림, 팔다리경련, tetany, carpopedal spasm
Horner syndrome
증상 : 동공 축소, 눈꺼풀 처짐, 편측 얼굴의 무한증
식도 혹은 기관 손상
삼킴곤란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