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Crohn's disease)
정의: 구강부터 항문까지의 전 위장관을 침범하며 장관전층을 침범하는 (transmural involvement) 염증성 장질환
호발연령: double peak → 10-30대 & 60-70대
임상양상: 만성설사, 우하복부 복통, 배변시 통증 완화, 미열, 체중감소 등
특징
말단 회장부 침범이 가장 흔함 (ileocolitis) → RLQ pain, inflammatory mass, fever, leukocytosis 등이 발생하여 급성 충수돌기염과 유사한 임상양상
항문 침범 → anal fistula, anal abscess 호발
** 항문주위 농양 혹은 치루가 발생한 환자에서는 반드시 크론병에 대한 평가를 시행
직장은 보존 (rectal sparing)
Skip lesion → 연속적이지 않은 병변
위장관 전층을 침범하는 궤양 (transmural ulceration) → cobblestone appearance
아프타성 궤양, 종주성 궤양 (longitudinal ulcer)이 mesenteric border 발생
noncaseating granuloma
검사실검사
혈액검사: CRP, ESR증가, Hb 감소, 백혈구증가, 알부민 감소
대변 lactoferrin: 장 염증 진단에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사
대변 calprotectin: 조직학적 염증반응을 반영, 재발 예측 평가에 용이
→ fecal lactoferrin 과 calprotectin은 IBD와 다른 질환 (IBS 등)의 감별에 유용
ASCA (+) 60-70%
말단 회장의 흡수장애 → 빈혈, 저알부민혈증,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등
중증도: 주요 증상(복통,혈변,합병증 등)을 종합하여 평가 → CDAI 또는 HBI 를 사용
Harvey-Bradshaw Index (HBI) : 하루 중 증상 평가
5-7점: mild activity
8-16점: moderate activity
17점~: severe activity
** CDAI 평가에는 포함되어있지만 HBI에는 포함되지 않은 항목: Hct, 발열
** 국가고시, 임종평 수준에서는 UC severity 평가에 따라 중등도를 평가해도 무방내시경검사
대장내시경: 일차 검사로 권고, 말단회장부를 포함한 전체 대장 관찰, 이상 병변 생검
에스결장내시경: 일차 검사로 권고되지 않음. 중증의 증상으로 천공의 위험이 있거나 적절한 장 정결에 불가능한 경우 시행
캡슐내시경/MR enterography: 새롭게 크론병이 진단된 경우 반드시 소장에 대한 평가 시행
식도위내시경: UGI 병변이 의심될 경우 시행
내시경 소견
종주성 궤양 (Longitudinal ulcer): 4-5cm 이상 길이의 궤양이 장의 주행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찰
조약돌 점막 모양 (cobblestone appearance): 궤양들이 사방으로 연결되어 심한 궤양들 사이에 남은 점막들이 과형성 및 부종 변화로 돌출되어 조약돌을 깔아놓은 양상으로 관찰. 매우 특징적인 소견
아프타성 궤양: 크론병 초기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베체트장염/장결핵 등 다른 질환과의 감별 필요
**소장 캡슐내시경 소견: ulceration, luminal narrowing
병변의 양상
fibrostenotic obstructing pattern
질병 초기: Bowel wall edema, spasm으로 인해 간헐적인 폐색증상 및 식후 통증 발생
→ 금식, 위감압 및 내과적 치료로 증상 호전질병 후기 (수년): 지속되는 염증으로 인해 위장관의 섬유화 및 협착이 진행
→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며 수술의 적응증에 해당
penetrating fistulous pattern
중증 염증으로 인해 장벽이 얇아지고 미세천공 또는 주변 장기로의 누공 (fistula) 발생
[1] Harrsion 21e, pg.2469-2490
[2] 크론병 치료 가이드라인 개정판
[3]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iologics for moderate to severe Crohn’s disease
크론병의 영상 소견
대장조영술
String sign (segmental luminal narrowing): 소장 또는 대장의 내강이 좁아진 분절이 확인되는 소견. 급성 및 만성 단계에서 모두 보일 수 있음
CT
주로 말단 회장부를 침범하는 segmental 병변
장벽 두께 증가 및 점막하 부종으로 인한 target sign (yellow arrow)
Comb sign: 장 주위의 fibrofatty proliferation으로 인해 mesenteric vessel이 확장되고 넓게 퍼진 소견 (orange arrow)
크론병의 치료
약물치료
1) 관해 유도 치료경도~중등도
대장병변: sulfasalazine (경구 5-ASA)
**mesalamine 좌약은 사용하지 않음
회장 및 우측 대장 병변: budesonide
5-ASA가 효과 없거나 전신증상 동반시 전신 steroid (prednisone)
중등도~중증 치료 : 경구 prednisone
반응 없을 경우 → 항종양괴사인자억제제(anti-TNF inhibitors) + thiopurines/MTX
위 치료에 반응 없을 경우 → vedolizumab, ustekinumab → IV 스테로이드 순으로 step up
Fistulizing crohn’s disease : 배농 및 항생제 (ciprofloxacin, metronidazole) → 질병조절
2) 유지 치료
Thiopurines (6-MP, AZA) : 스테로이드 의존성 IBD의 관해 유지
** TMPT, NUDT15 genotyping 필요
MTX: 활동기 크론병의 관해 유도, 유지 효과
anti-TNF 제제로 관해 시 anti-TNF 사용
5-ASA 제제는 UC에서는 관해 유지 효과가 있지만 크론병에서 관해 유지 효과는 떨어짐
3) 식이요법
장관영양을 통한 고칼로리 식단 (low fat, low carb, high protein)
장관영양이 불가능할 경우 bowel rest, TPN(완전 비경구 영양)
[크론병 수술 적응증]
소장
난치성 협착과 폐쇄, 약물치료 실패
조절되지 않는 대량 출혈, 불응성 누공, 배농 후 재발한 농양
결장, 직장
내과치료에 불응인 항문주위 질환
불응성 누공, 대장폐색
대장 이형성증 또는 대장암
수술 방법
Segmental bowel resection: 절제범위는 가능한 최소로 절제 (재발 많으므로)
회장낭 기능부전 확률 높으므로 IPAA는 금기
크론병의 합병증
Acute Ileitis (급성 회장염) : 말단 회장의 부종이 발생하고, 붉은 빛을 띠며 (beefy red), mesentery thickening, 주위 림프절 비대가 발생 → 수술은 시행하지 않음
**급성 충수염으로 오인하여 수술을 시작하고 정상 충수돌기를 확인한 경우, 충수돌기와 맹장 주위의 급성 염증이 없다면 추후 오인 소지를 방지하기 위해 negative appendectomy를 시행장 협착 (stricturing disease)
Penetrating disease (장 누공 및 농양)
3 cm 미만의 농양이면서 [생물학적제제 시작하지 않음 or 관련 누공 발생] → 항생제 치료
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농양 → 피부경유/수술적 배액
free perforation: 수술
누공: 방광, 질, 피부와 연결된 경우 수술적 교정 필요
1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