뮬러관의 발생과 분화
① 형성(formation): 뮬러관은 태생기 5-6주 경부터 꼬리 방향으로 자라기 시작
② 융합(fusion): 태생기 8주 경부터 양측 뮬러관의 하부가 하나로 합쳐지는 융합이 시작
③ 재흡수(reabsorption): 태생기 9주차에는 융합으로 생긴 중격의 재흡수가 시작되며, 이로 인해 중격이 완전히 소실되면 하나의 관이 만들어짐.
④ 질의 생성: 12주 경 urogenital sinus와 uterus가 맞닿아 있는 부위에서 sinovaginal bulb가 만들어지며, 이 구조물이 자라서 질판(vaginal plate)이 된다. 질판이 성장하고 중심의 세포는 분해되면서 질이 형성된다.
[1] 부인과학 6판 pg. 1038-1046
[2] Moore 10e, pg. 266
뮬러관 기형
정의
뮬러관 형성 부전(MRKH syndrome): 뮬러관의 발생이 아예 이뤄지지 않아 자궁과 상부 질이 아예 만들어지지 않음.
자궁 경부 무형성: 자궁 경부 전체 또는 일부가 형성되지 않음
단각 자궁: 한쪽 뮬러관만 형성 부전이 발생함
중복자궁: 양측 뮐러관의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음
쌍각자궁: 양측 뮐러관의 융합이 자궁하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자궁상부는 융합되지 않음
중격자궁: 양측 뮐러관이 융합한 후 자궁질중격의 재흡수가 전혀 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이루어짐
가로질중격: 질 내에 가로로 막 형성
세로질중격: 질 내에 세로로 막 형성
동반 질환
비뇨기계 기형 : MRI, IVP, 콩팥 초음파 시행 필요
척추/골격계 기형 동반 : 경추/척추 엑스레이 시행 필요
[1] 부인과학 6판 pg. 1038-1046
뮬러관 형성 부전 (MRKH syndrome)
전체 자궁이 없는 경우로, 간혹 기능성 자궁내막강을 포함한 흔적 자궁이 발생할 수 있음
[1] 부인과학 6판 pg. 1038-1046
자궁 경부 형성 부전
하부 질과 자궁이 융합되지 않거나, 자궁경부의 원위부가 막혀서 발생하는 기형
[1] 부인과학 6판 pg. 1038-1046
단각자궁
정의: 한쪽 뮐러관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되어서 나타나는 기형
치료
자궁내막강을 가진 흔적자궁이 없는 경우(a,b,d): 치료 불필요 (산과적 합병증 외에는 별다른 문제를 유발하지 않음)
자궁내막강을 가진 흔적자궁이 있는 경우(c,e): 수술로 흔적자궁 절제가 필요 (자궁내막증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 특히 e와 같이 단각자궁과 연결된 경우 임신 합병증 가능성 증가)
[1] 부인과학 6판 pg. 1042-1043
중복자궁
정의: 양측 뮐러관의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발생하는 기형
자궁 전체가 융합되지 않기 때문에 자궁체부뿐만 아니라 자궁경관도 2개로 관찰된다
임상 양상
세로질중격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75%)
산과적 합병증(조산, 자연유산)의 빈도가 높음
치료: 이 기형에 의해서 습관성 유산등이 발생할 경우 자궁 기형 교정 수술을 고려
[1] 부인과학 6판 pg. 1043
쌍각자궁
정의: 양측 뮐러관의 융합이 자궁하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자궁상부는 융합되지 않은 경우
기준: 자궁저부가 1cm이상 함입된 경우로 정의. (Serosal indentation)
드물게 septate uterus와 동반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1] 부인과학 6판 pg. 1038-1046
중격자궁
중격자궁(septate uterus)
정의: 양측 뮐러관이 융합한 후 자궁질중격의 재흡수가 전혀 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이루어져서 나타나는 기형
자궁 저부의 중앙부위 (fundal midline)의 안쪽에 자궁강 내부로 중격이 형성되며, septum angle이 90도 미만을 이루고 중격의 길이가 1cm 이상이다.
중격자궁에 의한 불임의 경우 자궁경하 중격절제술을 시행하면 자연 임신이 가능
** 궁상자궁(arcuate uterus)
정의: 자궁저부 내측면이 경미하게 자궁강 안으로 함입된 것. (septum angle이 둔각이고 중격의 길이가 1cm 미만)
태생기의 격막이 거의 다 흡수되고 일부만 남아서 발생
치료: 경과관찰 (가임능력이나 산과적 예후가 정상인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정상의 한 변이로 간주하고 특별한 치료를 하지는 않는 편이다.)
참고) ESHRE/ESGE 분류에서는 이 진단이 삭제되었다. (정상의 한 변이로 간주)
[1] 부인과학 6판 pg. 1043-1044
가로질중격
기전: 비뇨생식굴과 뮬러관의 융합과정 중의 이상으로 발생
분류: 중격의 위치에 따라 상부/중간부/하부 질중격으로 구분하는데, 질 하부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치료: 수술적 중격 제거술 시행
[1] 부인과학 6판 pg. 1044
세로질중격
기전: 태생기 좌,우측 뮬러관 융합과정이 하단에서 불완전하게 이루어져 발생
치료: 대부분 무증상이나 성교통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수술 중격 제거술 필요
[1] 부인과학 6판 pg. 1044
입체 초음파 소견
a : serosal indentation > 1cm이 확인되는 bicornuate uterus(쌍각 자궁)
b : flat fundus, 자궁 내막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 중격 길이>1cm, septum 이 cervix까지 뻗어있는 complete septate uterus(완전 중격 자궁)
c : concave fundus, 자궁 내막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 → arcuate uterus(궁상자궁)
d : flat fundus, 자궁 내막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 중격 길이>1cm → partial septate uterus (부분 중격 자궁)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