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 개요
정의: 비자발적인 소변 누출
분류
[1] 부인과학 6판, pg. 1071-1072
요실금 초기 평가
요실금 초기 평가에서 중요한 것은 병력청취와 배뇨일지 작성
배뇨나 요실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복용은 없는지 파악
: 알코올, 벤조디아제핀, CCB, 알파차단제, 항콜린제 등
치료 요약
[1] AAFP - Diagnosis of Urinary Incontinence, pg.546
[2] 부인과학 6판, pg. 1075-1079, 1084
복압성(긴장성) 요실금
정의: 기침, 웃음, 운동 등으로 복압이 상승할 때 발생하는 비자발적인 소변 누출
검사
기침 유발 검사(cough stress test)
요 역동학 검사
Q-tip 검사 : 요도의 과운동성을 확인하는 검사로, 면봉을 요도방광접합부의 안쪽부위까지 집어넣고 아랫배에 강한 힘을 주게하거나 기침을 시켜 수평상태에서 면봉이 최대로 휘는 정도 측정. 최대 각도가 20-30도 이상 변하면 요도 과운동성 진단
치료
1차 치료 : 행동치료 (골반 강화 운동)
2차 치료
약물치료 (알파 아드레날린성 제제, propranolol(=bb), TCA, duloxetine(=SSRI))
페사리: 기저질환 등의 이유로 수술 시행이 어려울 때
3차 치료: 수술 치료 (보존치료에 실패하거나 환자가 원하는 경우)
질식 접근 수술
중요도 걸이술(Midurethral sling)
TVT (Tension-free vaginal tape, 무긴장성 질테이프술)
TOT (Transobturator tape, 경폐쇄공 테이프술)
전통적 치골질걸이술 (pubovaginal sling operation)
복부 접근 수술
Burch procedure
[1] 부인과학 6판, pg. 1084-1092
절박성 요실금
정의: 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고 소변이 새는 비자발적인 소변 누출
원인: 과민성 방광 및 배뇨근 과활동
검사: 소변역동학검사
치료
1차 치료 : 행동치료 - 방광훈련 (배뇨 후 다시 배뇨, 유도배뇨, 시간제 배뇨)
2차 치료 : 약물치료
항무스카린제(항콜린제) (Tolterodine, oxybutynin, fesoterodine, solifenacin)
b3-agonist (mirabegron)
3차 치료 : 수술요법 : 행동요법과 약물치료가 실패한 경우.
bladder denervation, 배뇨근 절제술, 신경조절 등
[1] 부인과학 6판, pg.1093-1096
[2] UpToDate - Urgency urinary incontinence/overactive bladder (OAB) in females: Treatment
범람성 요실금
정의: 방광이 과도하게 차서 소변이 넘치게 되어 발생하는 비자발적인 소변 누출
원인: 요 배출구가 막히거나(전립선 비대증 등)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방광이 수축되지 않음
검사: 요역동학검사(소변량 200이하, 잔뇨 50이상)
치료: 카테터
1차 치료 : 간헐적 카테터
2차 치료 : 유치 카테터
3차 치료 : 치골위 카테터
[1] 부인과학 6판, pg. 1084
요역동학 검사 (Urodynamic study)
목적: 요실금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 배뇨근 기능 평가
정상 검사 소견
기침, 발살바 등의 복압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질압과 요도압이 모두 증가하고, 배뇨근압은 낮은 상태로 유지됨
요도 폐쇄압은 배뇨가 시작되기 전까지 높게 유지됨
배뇨 시작 시점부터 요도 폐쇄압이 낮아지고, 배뇨근압이 높아지는 synergic sphincter와 detrusor 를 볼 수 있음
[1] 부인과학 6판, pg. 1078-1084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