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경계성 난소 종양
정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악성 세포 변화를 보이지만 명백한 침윤이 없고 임상적으로 천천히 자라는 상피성 난소 종양. 병리검사 소견상 Tumor of low malignant potential이라고 표현
임상양상
오랜 기간 난소에만 국한되어 지속되는 양상을 보임
폐경기 전후에 주로 발생하며, 예후가 굉장히 좋음
치료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경우: 가임능력 보존 수술 및 포괄적 병기 설정 수술 (USO + staging)
가임력 보존이 필요없는 경우: 완전한 병기설정수술 (TH + BSO + staging)
→ 수술 결과 침윤성 착상병변이 없음 : 추가 치료 없이 관찰,
→ 수술 결과 침윤성 착상 병변이 있는 경우 : 관찰 또는 보조항암화학요법이미 수술로 경계성 난소 종양이 진단된 경우
완전한 병기 결정 수술이 이뤄졌다면 위에서 서술한 대로 경과관찰 또는 보조항암화학요법
불완정한 병기 설정 수술
잔류 종양 없음 : 경과관찰
잔류종양 있음
임신을 원하는 경우
→ 침윤성 착상 없거나 모름 : 경과관찰
→ 침윤성 착상 있음 : 가임력 보존수술 + 병기설정수술가임력 보존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이드라인에서 언급하고 있지 않다.
[1] 부인암 진료권고안 5판. pg. 20-21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