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피성 난소암의 진단
발병 기전 : 난소 상피 또는 난관 원위부 상피세포에서 발생
임상 양상
대부분 무증상 (silent killer)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골반/복부 덩이 및 압박증상이 발생
복강 내 전이에 따른 복부팽만, bloating, 구역, 변비, 식욕부진, 이른포만감, 체중감소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되며, 부인암 중 가장 예후가 나쁜 암
위험인자
배란횟수와 상피성 난소암 위험은 정비례 → 미산부, 불임, 빠른 초경, 늦은 폐경
(배란을 억제하면 난소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음 → 임신, 출산, 수유, 경구피임약)에스트로겐 노출
유전적 인자 → 가족력, BRCA1/2, HNPCC
일차 진단적 검사
문진, 진찰
종양표지자 : CA-125(상피성 난소암 종양표지자), β-hCG, AFP, CA19-9, CEA
영상 진단 : 골반 초음파, 복부골반 CT/MRI/PET, 흉부 CT
위장관 검사(선택적): 다른 부위로부터 난소로의 전이를 배제하기 위해 시행
[1] 2024 부인암 진료권고안 5.0, pg.12
[2] 부인과학 6판, pg. 854-862
상피성 난소암의 staging (수술적 병기)
상피성 난소암의 일차치료
Stage I : 수술적 병기 설정술이 원칙
TH + BSO
대망절제술 (omentectomy)
골반/대동맥주의 림프절 절제 (pelvic/para-aortic lymphadenectomy)
골반/복부 세척 세포검사
다수의 복막 생검 (전이가 의심되는 모든 복막과 유착 부위, 골반/paracolic gutter, 횡격막 아래 표면 생검)
Stage II, III, IV : 수술적 병기 설정 및 최대 종양 감축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TH+BSO, 대망절제, 림프절절제, 복막생검, 골반/복부 세척 세포검사
전이가 확인되는 부위의 최대 종양 감축 : 종양을 모두 제거하여 육안적으로 보이는 잔류종양을 남기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 잔류 종양이 1cm미만일 때 적절한 종양감축이 이뤄진 것으로 간주
상복부 침범시 침범이 의심되는 부위 전부 절제
: 대망과 림프절 절제, 장절제, 충수돌기절제(점액성 난소암), 횡격막 및 다른 복막 표면 종양절제 (stripping), 비장절제, 방광 부분절제, 간 부분절제, 위부분절제, 담낭 절제, 원위부 췌장 절제 등의 다장기 절제 고려
** 예외
임신을 원하는 환자는 분화도와 관계 없이 수술소견상 병기 1A or 1C를 보이면 임신능력보존수술 시행 가능
*임신능력 보존수술 : (자궁 및 일측 난소보존) USO, 림프절절제, 복강 및 후복강의 철저한 육안적 검사, 광범위 조직검사
일차 수술로 최적 종양 감축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병기 III,IV 환자 (ex. 5cm 이상의 전이성 종양을 포함하는 복막파종) : 종양 세침 흡인술/생검/복수천자를 통해 난소암의 병리학적 진단을 시행 → 수술 전 선행 항암화학요법 → 이후 추가적/반복적 종양감축술
[1] 2024 부인암 진료권고안 5.0
상피성 난소암의 수술 후 추가 치료
수술 후 보조(adjuvant) 항암화학요법
병기 IA, IB, grade 1 : 수술 후 경과관찰
병기 IA, IB, grade 2 : 수술 후 경과관찰 (또는 taxane/platinum 항암요법 3-6회)
병기 IA, IB, grade 3 / 병기 IC : taxane/platinum 항암요법 3-6회
병기 II,III,IV : taxane/platinum 항암요법 6-8회 (paclitaxel + carboplatin)
수술 후 1cm 미만의 잔류종양, 병기 II,III : 복강 내 (IP) + 정맥 (IV) 항암화학치료
일차 보조항암화학요법 후의 추가 치료
Bevacizumab을 paclitaxel/carboplain과 함께 사용 이후 단독 유지 요법으로 추가 유지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차 항암화학 요법에 반응을 보인 경우 PARP 억제제 (olaparib, niraparib, veliparib) 유지요법 고려 (기존 4판 가이드라인에서는 BRCA 변이를 가진 환자에 대해서 권고되었으나, 연구 결과 일반적인 진행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음이 밝혀지면서 5판에서 수정된 내용)
1차 보조요법 시행 후 완전 관해를 보이지 않는 경우 재발성 난소암에 준하는 치료 필요
[1] 2024 부인암 진료권고안 5.0
불완전한 병기결정술
Stage IA, IB, grade 1 : 완전한 병기 설정술 시행
병기 IA, IB, grade 2/3
잔류 종양 없다고 판단 : 항암치료 또는 완전 병기 설정
(IA/IB grade 2라면 항암치료 없이 관찰 가능)절제 가능한 잔류 종양이 의심 : 병기설정술 + 종양감축술
병기 II-IV
잔류 종양 없다고 판단 : 항암 화학 요법 6-8회 시행
절제 가능한 잔류 종양이 의심 : 병기설정술 + 종양감축술 → 보조 항암화학요법
절제 불가능 잔류 종양 의심 : 항암화학요법 3-6회 → 절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될 때 종양감축술 → 보조 항암화학요법
[1] 2024 부인암 진료권고안 5.0
유전성 난소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난소암 고위험군(=난소암 가족력이 있거나 BRCA 1,2 등 고위험 유전자 존재)에서는 다음 처치를 권고
30-35세부터 6개월마다 경질초음파/CA-125 추적검사 시행
경구피임약 복용 (화학적 예방)
가족 계획을 달성한 이후 35-40세 사이에 예방적 양측 난소 난관 절제술 시행
(40세 이전에 완료하는 것을 권고하나, 시행 후에도 복막암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BRCA1,2 : 25세 이후 유방촬영술 및 유방 MRI를 통한 유방암 선별검사 시행 (BRCA 1,2는 난소암의 고위험 유전자이자 유방암의 고위험 유전자이기도 함)
HNPCC : 20-25세부터 1-2년마다 대장내시경, 30-35세부터 1-2년마다 자궁내막생검을 시행, 가족 계획을 달성한 이후 예방적 난소난관 절제와 함께 자궁절제 고려
[1]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2568-2570
[2] ACOG - Hereditary Breast and Ovarian Cancer Syndrome
재발성 난소암
진단 : 종양 표지자 상승, 영상검사, 조직검사 이상 소견
영상검사 각 병변의 가장 긴 직경의 합이 20%이상 증가하거나 새로운 병변이 확인되는 경우 (RECIST criteria)
1주일 간격으로 두번 측정한 CA-125수치가 2배 이상 증가된 경우
분류
초기 항암치료 중 재발한 경우 : 백금계 - 무반응(platinum-refractory) 난소암
항암치료 종료 후 6개월 이내 재발 : 백금계 - 저항성 (platinum-resistant) 난소암
항암치료 종료, 완전 관해 후 6개월 이후 재발 : 백금계 - 민감성 (platinum-sensitive) 난소암
치료
백금 민감성 난소암
복수가 없고, 수술적으로 완전 절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재발 병소 1곳 또는 제한된 병소) 이차 종양감축술 고려
백금 복합 항암화학요법 (+bevacizumab)
백금 저항성 또는 병기 II-IV이면서 부분관해에 도달 : 임상시험 또는 non-platinum 항암치료
백금 무반응 난소암: 완화요법, non platinum 항암치료
*임상적 재발 없이 CA-125만 상승한 경우 : 치료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이 없음. 임상적 재발 때까지 치료를 지연하거나, 즉시 항암화학요법을 고려할 수 있음.
[1] 2024 부인암 진료권고안 5.0
[2] 부인과학 6판, pg. 875-880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