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에 대한 자궁내막의 반응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각각 파탄성(breakthrough), 소퇴성(withdrawal)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다음은 각각에 대한 설명과 예시이다.
에스트로겐 파탄성 출혈 (estrogen breakthrough bleeding)
정의: 과도한 에스트로겐에 의해 발생하는 출혈
기전: unopposed estrogen 노출 → 자궁 내막 과증식 → 탈락되며 출혈 발생
임상양상: unopposed estrogen에 노출된 양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적은 농도의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경우 간헐적인 소량의 질출혈이 지속되는 형태로 나타나고, 높은 농도의 에스트로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오랜 기간 월경이 없다가 갑자기 과다 출혈이 발생할 수 있음
예시
사춘기 시기의 미성숙한 호르몬 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배란성 출혈
만성적인 무배란이 지속되는 질환 (PCOS, 조기난소부전, 고프로락틴혈증, 갑상샘 기능 저하증/항진증, 시상하부 기능 부전 등)
배란이 일어나지 않아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지 않으므로, Unopposed estrogen에 계속 노출되면서 자궁 내막이 과증식되다가 출혈이 발생.
에스트로겐 소퇴성 출혈 (estrogen withdrawal bleeding)
정의: 에스트로겐 농도가 갑자기 낮아지는 경우 발생하는 출혈
기전: 에스트로겐 수치의 급격한 감소 → 자궁 내막이 붕괴 및 탈락되면서 출혈
예시
난포기 중반에 양측 난소 절제를 받은 직후 발생하는 출혈
에스트로겐 제제(ie. 폐경 호르몬치료)를 복용하다가 갑자기 중단하는 경우
정상 월경 주기에서 배란 직후 에스트로겐 농도가 감소하면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배란혈)
프로게스테론 파탄성 출혈 (progesterone breakthrough bleeding)
정의: 혈중 프로게스테론/에스트로겐 농도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발생하는 출혈
기전: 높은 프로게스테론에 의한 자궁 내막 위축, 얇아짐 → 탈락되며 출혈
특징: 자궁 내막이 위축됨
예시
프로게스테론 제제 (minipill, LNG-IUD, Implanon, DMPA) / 복합 경구 피임제
* 복합경구피임약은 생리적 용량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 모두 포함되어있지만, 프로게스테론이 항상 dominat hormone 이고, 실질적으로 자궁내막에 미치는 효과는 프로게스테론의 효과이다.
프로게스테론 소퇴성 출혈 (progesterone withdrawal bleeding)
정의: 혈중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갑작스럽게 낮아지는 경우 발생하는 출혈
기전: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갑자기 낮아짐 → 자궁내막 탈락 기전 촉진(vasoconstrictor 분비 유발에 의한 hypoxia / 관련 chemokine 분비 등)
프로게스테론 소퇴성 출혈은 이전에 에스트로겐에 의해 자궁내막이 증식한 상태에서만 발생함.
예시
정상 월경 주기: 황체가 퇴화하면서 프로게스테론 소퇴성 출혈 (=월경)이 발생
프로게스테론 제제를 복용하다가 중단하는 경우: 경구피임약 중 휴약기에서 월경이 발생하는 경우
[1] Speroff's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9e. pg.1227-1231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