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 심폐소생술

신생아 소생술 (Neonatal resuscitation)

기본 개념

신생아 소생술

  1. 소생술 필요 여부 구별

    ① 미숙아인가? ② 근육 긴장도가 떨어지는가? ③ 잘 울지 못하거나 숨을 잘 못 쉬는가?

    • 만삭아이고, 근육 긴장도가 양호하며 잘 우는 신생아는 엄마에게로 옮겨 피부접촉을 유지한 채로 초기 단계를 진행하되, 호흡, 활동성, 피부색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 위 3가지 질문 중 하나라도 “예”에 해당하면 복사 온열기로 옮겨 소생술 단계를 시행한다.

  2. 초기 단계

    • 보온 및 체온 유지

    • 기도확보를 위한 자세 (sniffing position)

    • 필요시 기도 분비물 제거

    • 양수를 마른 포로 닦기 (32주 미만 미숙아는 비닐백으로 감싸기)

    • 자극하기 (등, 몸통, 사지 문지르기, 발바닥 2-3회 가볍게 치기)

  3. 호흡, 심박수 평가

    출생 직후 약 60초 동안(“the Golden Minute”)에 초기 단계, 재평가, 필요에 따라 호흡 보조 개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부적절하게 호흡 보조의 단계가 지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

    • HR > 100, 호흡곤란/지속성 청색증 동반 : 산소포화도 감시, 필요시 산소 공급

    • HR <100 or 무호흡/헐떡호흡 : 산소포화도 감시, 즉시 양압환기 적용, 심전도 모니터링

      • 양압 환기시 흉곽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거나, 심장 박동수가 분당 100회 미만이면 환기 방법을 교정하여 점검. 필요시 기관내삽관 혹은 후두 마스크 삽입 고려

  4. 적절한 양압환기를 30초 이상 적용했음에도 심박수가 60회 미만

    • 3:1 비율로 가슴압박과 양압환기를 시행

    • 기관내 삽관이 되어있지 않다면 기관내삽관 시행

    • 응급 제대정맥관 삽입 고려

  5. 적절한 양압환기와 가슴압박을 60초 이상 적용했음에도 지속적으로 분당 60회 미만 :

    • 에피네프린 정맥주사로 투여

    • 반응이 없다면 저혈량, 기흉 등 다른 원인 고려, 실혈이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혈장 확장 수액 투여


[신생아 소생술 적용 대상]

  • 자궁 내 환경에서 자궁 외 환경으로 적응하는 과정에 있는 갓 태어난 신생아에게 적용

  • 출생 후 수주 내에는 심혈관계 부전의 일차 원인이 가스교환 장애로 인한 경우에는 신생아 소생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심장 자체가 일차 원인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더 높은 비율의 가슴압박대 환기 (15:2)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기도 청소]

  • 양수가 깨끗할 때 : 분만 직후 구인두, 비인두 양수를 일률적으로 흡입하지 않도록 하며, 기도 폐쇄가 있거나 양압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흡입하도록 한다.

  • 태변 착색된 양수일 때: 양수에 태변이 착색되었다는 산전 정보가 있으면, 분만 후 기관내 삽관을 포함한 소생술이 필요할 가능성에 대비해야한다.

    • 활발한 신생아 (심박수 100회 이상, 호흡노력이 강하며 근긴장도 좋음) :
      어깨 분만 전 태변 흡입 행위는 더이상 권장하지 않는다. 초기 처치 후 흡입용 bulb syringe 또는 흡입 카테터를 이용하여 입과 코의 태변을 부드럽게 제거한다.

    • 활발하지 않은 신생아 (심박수 100회 미만, 근긴장도 저하, 호흡노력 감소) :
      2015년도 가이드라인부터는 일률적인 후두경 삽입/태변 흡입 없이 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즉각적인 후두경 삽입 및 기도 내 태변 흡입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으며, 바로 양압환기를 적용해 호흡이 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드물게 양압환기 도중 태변으로 인한 기도폐쇄가 의심될 때는 기관내삽관을 통한 기도 내 태변 흡입이 필요할 수 있다


[1] 2020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치료적 저체온 요법

  •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진단 기준

    • 산모 또는 태아 병력상 주산기 가사를 유발할 요인 동반 / 산전초음파, NST, BPP 등에서 태반 및 태아의 상태변화를 나타냄

    • 10분 Apgar score <5

    • 제대동맥혈 검사시 중증 산증 (pH <7.0 or base deficit ≥ 12)

    • 비정상적 의식수준, 감각작극에 대한 이상 반응, 뇌신경, 뇌간, 또는 운동기능장애, 경련 등의 이상 신경 행동학적 소견 (encephalopathy), 또는 주산기 가사와 연관된 다기관 기능 부전

  • 중증도 평가

  • 치료

    • 임신나이 36주 이상이면서, 중등증-중증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을 동반한 신생아의 경우 치료적 저체온 요법을 적용

      출생 후 6시간 이내 선택적으로 머리 또는 전신 부위를 냉각하여 심부체온을 33.5도 까지 낮추어 저체온증을 유발하고, 72시간 지속한 후 적어도 4시간 이상에 걸쳐서 다시 천천히 체온을 상승

  • 예후

    • 사망률 20-30%, 생존아 중 33-50%는 뇌성마비, 지적장애, 뇌전증, 학습 인지장애, 시신경 장애 등 동반

    • 출생 시 제대혈 또는 첫 혈액 가스 검사에서 pH 6.7 미만인 경우 생후 18개월 때 90% 사망 또는 중증 후유증을 보임.


[1] 2020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2] William’s obstetrics, 26e.

[3] 홍창의 소아과학 12e. 302-306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