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소생술
소생술 필요 여부 구별
① 미숙아인가? ② 근육 긴장도가 떨어지는가? ③ 잘 울지 못하거나 숨을 잘 못 쉬는가?
만삭아이고, 근육 긴장도가 양호하며 잘 우는 신생아는 엄마에게로 옮겨 피부접촉을 유지한 채로 초기 단계를 진행하되, 호흡, 활동성, 피부색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위 3가지 질문 중 하나라도 “예”에 해당하면 복사 온열기로 옮겨 소생술 단계를 시행한다.
초기 단계
보온 및 체온 유지
기도확보를 위한 자세 (sniffing position)
필요시 기도 분비물 제거
양수를 마른 포로 닦기 (32주 미만 미숙아는 비닐백으로 감싸기)
자극하기 (등, 몸통, 사지 문지르기, 발바닥 2-3회 가볍게 치기)
호흡, 심박수 평가
출생 직후 약 60초 동안(“the Golden Minute”)에 초기 단계, 재평가, 필요에 따라 호흡 보조 개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부적절하게 호흡 보조의 단계가 지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
HR > 100, 호흡곤란/지속성 청색증 동반 : 산소포화도 감시, 필요시 산소 공급
HR <100 or 무호흡/헐떡호흡 : 산소포화도 감시, 즉시 양압환기 적용, 심전도 모니터링
양압 환기시 흉곽 움직임이 관찰되지 않거나, 심장 박동수가 분당 100회 미만이면 환기 방법을 교정하여 점검. 필요시 기관내삽관 혹은 후두 마스크 삽입 고려
적절한 양압환기를 30초 이상 적용했음에도 심박수가 60회 미만
3:1 비율로 가슴압박과 양압환기를 시행
기관내 삽관이 되어있지 않다면 기관내삽관 시행
응급 제대정맥관 삽입 고려
적절한 양압환기와 가슴압박을 60초 이상 적용했음에도 지속적으로 분당 60회 미만 :
에피네프린 정맥주사로 투여
반응이 없다면 저혈량, 기흉 등 다른 원인 고려, 실혈이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혈장 확장 수액 투여
[신생아 소생술 적용 대상]
자궁 내 환경에서 자궁 외 환경으로 적응하는 과정에 있는 갓 태어난 신생아에게 적용
출생 후 수주 내에는 심혈관계 부전의 일차 원인이 가스교환 장애로 인한 경우에는 신생아 소생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심장 자체가 일차 원인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더 높은 비율의 가슴압박대 환기 (15:2)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기도 청소]
양수가 깨끗할 때 : 분만 직후 구인두, 비인두 양수를 일률적으로 흡입하지 않도록 하며, 기도 폐쇄가 있거나 양압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만 흡입하도록 한다.
태변 착색된 양수일 때: 양수에 태변이 착색되었다는 산전 정보가 있으면, 분만 후 기관내 삽관을 포함한 소생술이 필요할 가능성에 대비해야한다.
활발한 신생아 (심박수 100회 이상, 호흡노력이 강하며 근긴장도 좋음) :
어깨 분만 전 태변 흡입 행위는 더이상 권장하지 않는다. 초기 처치 후 흡입용 bulb syringe 또는 흡입 카테터를 이용하여 입과 코의 태변을 부드럽게 제거한다.활발하지 않은 신생아 (심박수 100회 미만, 근긴장도 저하, 호흡노력 감소) :
2015년도 가이드라인부터는 일률적인 후두경 삽입/태변 흡입 없이 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즉각적인 후두경 삽입 및 기도 내 태변 흡입의 효과는 명확하지 않으며, 바로 양압환기를 적용해 호흡이 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드물게 양압환기 도중 태변으로 인한 기도폐쇄가 의심될 때는 기관내삽관을 통한 기도 내 태변 흡입이 필요할 수 있다
[1] 2020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치료적 저체온 요법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의 진단 기준
산모 또는 태아 병력상 주산기 가사를 유발할 요인 동반 / 산전초음파, NST, BPP 등에서 태반 및 태아의 상태변화를 나타냄
10분 Apgar score <5
제대동맥혈 검사시 중증 산증 (pH <7.0 or base deficit ≥ 12)
비정상적 의식수준, 감각작극에 대한 이상 반응, 뇌신경, 뇌간, 또는 운동기능장애, 경련 등의 이상 신경 행동학적 소견 (encephalopathy), 또는 주산기 가사와 연관된 다기관 기능 부전
중증도 평가
치료
임신나이 36주 이상이면서, 중등증-중증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을 동반한 신생아의 경우 치료적 저체온 요법을 적용
출생 후 6시간 이내 선택적으로 머리 또는 전신 부위를 냉각하여 심부체온을 33.5도 까지 낮추어 저체온증을 유발하고, 72시간 지속한 후 적어도 4시간 이상에 걸쳐서 다시 천천히 체온을 상승
예후
사망률 20-30%, 생존아 중 33-50%는 뇌성마비, 지적장애, 뇌전증, 학습 인지장애, 시신경 장애 등 동반
출생 시 제대혈 또는 첫 혈액 가스 검사에서 pH 6.7 미만인 경우 생후 18개월 때 90% 사망 또는 중증 후유증을 보임.
[1] 2020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2] William’s obstetrics, 26e.
[3] 홍창의 소아과학 12e. 302-30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