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개요 및 분류
정의: 폐 실질의 감염
분류
지역사회폐렴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CAP)
병원감염성 폐렴 (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
기계호흡연관폐렴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건강관리연관폐렴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HCAP)
[1] Harrison 21e, pg.1009
지역사회획득 폐렴의 진단
1. Typical 또는 Atypical인지 파악
Typical : 고열, 누런 가래, CXR consolidation 등
S. pneumonia, S. aureus, H. influenza, K. pneumoniae
Atypical : 미열, 쉰 목소리, 마른 기침, 근육통 등
Mycoplasma, Legionalla, Chlamydia, Virus 등
2. 검사 및 진단
가슴 X선, 가슴 CT
혈액 배양, 객담 배양, 객담 그람염색
소변항원검사
Legionella pneumonia, Streptococcus pneumonia
핵산증폭법 (PCR)
호흡기 바이러스 (rhinovirus, influenza, RSV, parainfluenza virus, coronavirus 등)
Legionella, Mycoplasma, Chlamydophila
지역사회획득 폐렴 치료
배양검사 → 중증도 평가 (CURB-65) → 경험적 항생제 시작
원인균이 동정되면 원인균에 맞춰 치료 → “각 원인균별 특징 및 치료 확인”
치료반응 판단 : CRP, procalcitonin
[1] 2017 성인 지역사회획득폐렴 항생제 사용지침, 질병관리본부, pg.20~30
각 원인균별 특징 및 치료
1) Streptococcus penumoniae (S. penumoniae)
고열, 늑막성 흉통, 고령 관련
65세 이상 폐렴구균 예방접종 권유
소변항원검사 (ELISA)
치료 : β-lactam, Respiratory FQ
2) Klebsiella pneumonia (K. pneumonia)
알코올 중독, 당뇨, COPD 환자
current jelly sputum
Lobar consolidation; bulging fissure (대개 상엽)
치료 : β-lactam, Respiratory FQ
3) Mycoplasma
5-20세, 군대, 학교
미열 + 폐 외 증상 뚜렷 → 다형홍반, 용혈성빈혈, 두통, 근육통, AST/ALT 증가 등
culture negative, 객담 gram stain negative
진단 : PCR + Serologic test
치료 : Macrolide
4) S. aureus, H. influenza, P. aerusinosa
기관지 주위로만 음영생김, 경계 불분명
치료 : β-lactam, Respiratory FQ
5) Legionella penumoniae
호수, 냉방기, 물탱크
복통, 구토, 설사, 두통, 피곤, 식욕부전
다장기 손상 동반 (간기능, 신기능 이상)
SIADH(저나트륨혈증)
소변항원검사 (ELISA)
치료 : Macrolide, Quinolone(Ofloxacin), Tetracycline
6) Pneumocystis jirovecii (Pneumocystis Pneumonia, PCP)
AIDS, 면역억제환자, 영양부족 환자의 기회감염
검사소견
CXR: bilateral interstitial opacities
LDH 수치 증가
진단 : 유도객담/BAL fluid의 Methenamine silver 염색
치료
Bactrim(TMP-SMX) : 치료 및 예방 약제
Steroid : HIV 환자 부작용예방
7) CMV pneumonitis
고형장기이식 후 면역억제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나타나는 기회감염
CXR: bilateral reticulonodular opacity
진단: 혈청 IgM, IgG testing, 혈청/호흡기검체 PCR
치료: IV ganciclovir
8) Bacterial aspiration
의식저하, 냄새나는 객담, 급작스런 청색증
치료 : 3세대 cepha, Respiratory FQ
HAP/VAP 의 치료
경험적 항생제 (다음 약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respiratory quinolone과 병합하여 사용)
piperacillin-tazobactam
cefepime
ceftazidime
imipenem/meropenem
MRSA 위험이 있는 경우 위 약제와 함께 vancomycin / teicoplanin / linezolid 을 투여
** vancomycin은 신독성이 있는 약제이므로, MRSA cover가 필요하지만 신기능저하가 동반된 환자라면 teicoplanin을 선택
→ 원인균이 동정되면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시행
[1] 2023 성인 병원획득 폐렴 진료 및 항생제 사용 지침
[2] Harrison 21e. pg. 1018
베타락탐계 (β-lactam)
감염내과 내용이나 폐렴에서 항생제가 많이 나오므로 베타락탐 종류를 알아두자
베타락탐계 (β-lactam)
1) 페니실린계 : penicilln G, amoxicillin, ampicillin, piperacillin 등
2) 세팔로스포린계 (Cephalosporin)
3) 모노박탐계
4) 카바페넴 : imipenem 등
[1] Harrison 21e, pg.1153~1158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