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환기 개요
기계환기 모드 (RED BOX)
→ 기계 환기 모드에는 assist control mode (volume control, pressure control),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SIMV) mode 등이 있다.
→ 모드에 따라 아래 나오는 그래프의 파형이 달라지게 되는데, 그래프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압력, flow, volume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Ppeak, Pmean, I:E (BLUE BOX)
→ Ppeak, Pmean: 기계 환기 중 환자 폐에 걸리는 압력을 나타내는 값이다. Ppeak는 최대 압력, Pmean은 평균 압력을 나타낸다.
→ I:E : 흡기 대 호기 시간을 나타낸다.
O2 conc., PEEP, Resp. Rate, Tidal volume (Green box)
→ O2 conc: 환자에게 투여하는 FiO2를 조절하는 부분
→ PEEP: 호기말 양압 (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을 설정하는 부분
→ Resp.rate: 분당 호흡수를 설정하는 부분
→ Tidal volume: 1회 호흡동안 폐에 들어갔다 나오는 공기량을 설정하는 부분
기계환기 모드
[Assisted control mechanical ventilation (ACMV) mode]
기계가 환자의 호흡을 100% 조절하는 방식, 가장 흔하게 사용
정확한 목표 tidal volume이나 airway pressure를 달성할 수 있으나, 주로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 사용하며, 자발호흡이 있는 환자에서 적용할 경우 환자의 자발호흡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sedation이 필요
Pressure control mode 와 Volume control mode로 적용할 수 있음
Pressure control mode: airway pressure와 RR을 설정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호흡을 시행
→ 기도압의 비정상적 상승을 예방할 수 있으나, 폐의 순응도나 기도저항에 따라 환기량이 적어질 수 있음 (compliance가 낮거나 기도저항이 높다면 환기량이 적어짐)
Volume control mode: Tidal volume과 RR을 설정하여 일정한 환기량으로 호흡을 시행
→ 일회 환기량이 보존되나, 폐의 순응도나 기도저항에 따라 Airway pressure가 변함
(compliance가 낮거나 기도저항이 높다면 airway pressure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수 있어 barotrauma 위험이 높음)
[SIMV mode]
기계에 의한 환기 + 환자의 자발호흡을 허용
호기말양압 (PEEP)
호기말 양압: 호기 말에 기도 내 일정한 양압을 유지하는 것
필요성: 호기 말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제공하여 폐포의 반복적인 허탈을 방지하고 무기폐를 예방, Funtional residual capacity를 증가시키고 V/Q mismatch를 호전
→ 기계호흡이 필수적이나 폐의 탄력성과 순응도가 떨어지는 ARDS에서 중요일반폐와 ARDS 폐의 순응도 비교
→ 일반 폐에서는 0.5L의 tidal volume을 주는데 8cmH2O의 압력이 필요하나, ARDS 폐에서는 0.5L의 tidal volume을 주기 위해 28cmH2O의 압력이 필요하다. 압력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lung 의 barotrauma가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0cmH20까지 압력을 낮추는 동안 폐포의 허탈이 발생하게 된다.
PEEP을 20cmH2O로 설정하고 tidal volume 을 0.5L로 주었을 때 낮은 압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포 허탈(A)을 예방할 수 있고, 높은 압력에 의해 alveolar overdistention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자가 호기말 양압 (Auto PEEP)
정의: 기도저항이 증가된 환자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과도하게 높은 Tidal volume이나 짧은 호기시간으로 인해 공기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폐의 과팽창이 발생하는 현상 (Air trapping)
→ Flow wave에서 다음 흡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호기 기류가 남아있는 모습이 확인
→ 지속되는 경우 alveolar overdistention이 발생하고, Airway pressure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됨원인: distal airway obstruction (asthma, COPD)
처치
흡기 대 호기 비율 (I:E ratio)를 조절하여 흡기를 짧게, 호기를 길게 조절
기관지 확장제 투여, 기도 분비물의 제거, 초기 치료 시 폐의 과팽창 유무를 수시로 확인
tidal volume respiratory rate을 가능한 줄여서 과팽창 예방
barotrauma (기흉, 종격동기종 등)이 의심될 경우 응급 CXR 촬영
** 2022 ACM 2차 2교시 55번 문항 참고
COPD 환자, 인공호흡기 유지중. 체위 변경 후 Ppeak증가, 기계호흡기 스크린에서 Peak inspiratory pressure 증가 및 flow wave에서 auto-PEEP이 확인 → Rt lung 호흡음 감소, 혈압 감소
: Auto PEEP으로 인한 tension pneumothorax가 발생한 케이스
기계호흡의 합병증
성대 손상: edema, avulsion, paralysis
기도 협착: granulation tissue, tracheomalacia
압력 손상 (barotrauma): Inspiratory plateau pressure가 30cmH2O를 초과하거나, auto PEEP이 발생하는 경우 기흉, 종격동 기종, 기복증 등이 발생할 수 있음
기계호흡 연관 폐렴 (VAP)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